학교급식 파업.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관계자들이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1번가 앞에서 '학교 비정규직, 정규직화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학교급식 파업.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관계자들이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1번가 앞에서 '학교 비정규직, 정규직화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급식조리원·돌봄전담사 등 학교 비정규직 직원 2만여명이 29~30일 파업에 돌입한다.

이에 따라 전국 초·중·고교 학교급식, 방과 후 수업 등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각 학교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가정에 도시락 준비를 요청하거나 단축 수업을 진행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돌입했다.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에 따르면 29일부터 이틀간 전국 14개 시도지역 학교 비정규직 직원들이 파업에 들어간다.

학비노조 등 학교비정규직연대와 이들 시도교육청 간의 올해 임금·단체교섭이 결렬된 데 따른 것이다. 교섭에 잠정 합의한 경북과 추가 교섭을 할 예정인 제주·울산은 이번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다.

그동안 학교비정규직연대는 학교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해왔다. 학비노조는 "임금교섭 결렬 이후 지난달 22일부터 한달여간 학교비정규직연대원들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 투표를 벌였고 참가자 5만8000여명의 89%가 찬성해 이번 파업에 나선다"고 설명했다.


이번 파업으로 이른바 '급식대란'이 일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학비노조 조합원 약 5만명 중 2만명이 급식조리원이기 때문이다. 학비노조 관계자는 "파업 이틀간 참여 규모는 29일 2만여명, 30일 2만여명으로 추산되는데 아무래도 급식 쪽에 종사하는 분들이 많은 만큼 파업 주축 직종은 급식조리원들로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이와 관련,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파업 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각 시도교육청에 철저한 대책 마련을 당부한 상태"라며 "교육청과 단위학교들도 실정과 현황에 맞게 대응책을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현재 각 시도교육청은 관내 단위학교의 파업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고,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비상근무체제를 시작했다.


단위학교는 지난 28일까지 가정 통신문을 통해 대부분의 가정에 급식 중단, 단축 수업 등을 고지했다. 급식대란에 대비해 분식 대체, 도시락 및 빵·우유 제공 계획도 마련한 상황이다.

학부모들도 급식 지원이나 도시락 준비·구매 등으로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일부는 단축 수업에 따른 자녀 돌봄 공백을 우려해 연·월차를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파업에 따른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각 시도교육청, 단위학교 등과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