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뉴시스 |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개인적 유대와 신뢰관계를 구축했고 이를 통해 '핵 동결→완전 폐기'라는 문 대통령의 대북 구상에도 지지를 확보했다.
특히 공동성명에는 "한반도의 평화 통일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 대한민국의 주도적 역할을 지지", "인도주의적 사안을 포함한 문제들에 대한 남북간 대화를 재개하려는 문 대통령의 열망을 지지"한다는 문구가 포함됐다.
'최대한의 압박과 관여'라는 대북기조를 가진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주도적 역할과 남북 대화의 필요성에 동의하고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향후 문 대통령의 북핵구상은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환영만찬에서 평소의 '기이한 악수' 대신 문 대통령과 '정중한 악수'를 했고 자신의 사적공간인 '트리티룸'을 깜짝 공개하는 등 문 대통령을 예우했다. 문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very very very good', 'great chemistry'라고 표현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 부부 간 환영만찬에 이어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을 통해 개인적 신뢰와 우의를 단단하게 다지는 계기를 마련했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부부에게 올해 안에 한국을 방문해달라고 공식 초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즉각 수락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사드가 이번 정상회담 공식 의제로 채택되지 않았고 한미 공동성명에도 사드가 빠지며 사드 부지 환경영향평가 실시 등 절차적 정당성과 과정의 투명성을 강조해온 문 대통령은 관련 부담을 덜어내기도 했다.
양국 새 정부가 모두 출범한지 얼마 되지 않아 앞으로 두 정상이 상당부분 임기를 함께해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 쌓은 우의와 신뢰가 향후 이견을 조율하고 양자 또는 다자간 협력을 이끄는데 필요한 토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무역 문제와 관련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여지를 남긴 것이 새정부에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