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중이염 환자 10명 중 5명은 9세 이하 어린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중이염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15만8000명으로 그 가운데 9세 이하 소아와 아동은 116만5000명으로 전체 진료 인원의 54%를 차지했다. 건강보험을 적용받는 9세 이하 인구는 454만3000명으로 4분의 1 이상이 중이염 진료를 한 번 이상 받은 셈이다.

연령별로는 2세가 21만1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1세 21만명, 3세 18만4000명, 4세 13만8000명 순이었다. 9세 이하에서 유독 환자가 많은 이유는 어른보다 면역력이 약하고 귀 구조상 감염되기 쉬워서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중이염 환자는 해마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환자 감소율은 2.4%로 조사됐다.

중이염은 고막과 내이(달팽이관) 사이의 중이에 생기는 염증으로 방치하면 고막 천공이나 난청이 생길 수 있다. 건강보험공단은 "중이염은 급성으로 시작해 만성으로 이행되기 때문에 소아의 경우 신속한 치료를 통해 병의 진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며 "통증이나 청각장애 증상이 생기면 신속하게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