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이러스수막염 급증. 사진은 보건복지부. /사진=뉴시스 |
바이러스수막염을 앓는 어린이들이 크게 늘어나면서 응급의료센터(응급실)를 찾는 환자 10명 중 6명이 9세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국립중앙의료원은 지난해 바이러스수막염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가운데 9세 이하 어린이가 1923명으로 전년(1330명)보다 44.6% 급증했다고 11일 밝혔다.
2014년 660명에서 2015년 1330명으로 크게 늘어난 데 이어 2년 연속 급증세다. 2012년 9세 이하 내원 환자가 740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4년새 2.6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바이러스수막염 응급실 내원 환자 3273명 가운데 9세 이하 어린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58.7%에 이르렀다. 지난 5년간(2012년~2016년) 평균 비율 48%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은 비율이다.
특히 여름철에 환자가 집중됐다. 지난해 기준으로 보면 6월부터 9세 이하 환자가 급증했다. 1~5월 내원 환자 수는 평균 30명 수준을 보이다가 6월 325명, 7월 938명 등으로 급증했다. 이후 8월 369명, 9월 76명 등으로 급감했다.
바이러스수막염은 무균성 뇌수막염으로도 불린다.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90% 이상이 엔테로바이러스가 원인이며, 그 가운데도 콕사키바이러스·에코바이러스가 대표적인 엔테로바이러스로 지목된다.
다만 아직까지 백신은 개발되지 않아 다른 바이러스성 질환과 마찬가지로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강화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신혜정 국립중앙의료원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는 "바이러스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인 엔테로바이러스가 주로 여름과 가을에 발생해 소아에게 감염을 잘 일으킨다"며 "아이들이 모여서 생활하는 공간에서는 개인별 위생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