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산업과 포스코건설의 재건축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대형건설사 '로비장부'를 입수한 것으로 알려져 업계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지난달 18일 압수수색이 시작된 지 이틀만에 두 회사의 직원이 각각 1명씩 구속된 가운데 이번 수사가 대형건설사 전체로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진제공=롯데건설
/사진제공=롯데건설

◆"직원 개인비리일 뿐" 선 긋는 건설사
이번 사건은 서울 송파구 진주아파트의 재건축사업장에 대한 경찰 조사에서 시작됐다. 경찰은 한 설계업체 간부가 일감을 수주하려고 재건축조합 임원과 홍보대행업자에게 뇌물을 건넨 사실을 확인, 검찰에 넘겼다. 검찰은 올 초 진주아파트 재건축사업자인 현대산업개발을 수사했으나 직접적인 연관성은 확보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후 검찰은 수사 과정에서 포스코건설과 금호산업의 직원이 또다른 공사비리에 연루된 혐의를 찾았고 설계업체 간부와 강남 재건축사업자가 관련된 문서도 발견했다. 수사를 맡은 서울동부지검에 따르면 포스코건설 부장급 조모씨는 충북 진천의 법무연수원 시공을 맡아 설계업체에 용역계약을 주는 대가로 약 4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이 설계업체가 최근 몇년 사이 강남 재건축·재개발사업의 일감을 상당수 수주한 탓에 다른 조합과 건설사까지 수사 선상에 오르내리게 됐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 업체는 2006년 설립 이후 최근 3년 사이 급성장해 매출액이 2014년 323억원, 2015년 463억원, 지난해 569억원으로 뛰었다.

담당직원이 가장 먼저 구속된 포스코건설은 지금까지 '직원 개인의 비리'로 선을 긋고 있지만 검찰은 회사 차원의 개입이 있었을 가능성을 열어둔 상태다. 업계는 그동안의 검찰 수사 과정을 볼 때 이 자금이 회사 윗선으로 흘러들어갔는지 여부까지 수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한다.

◆수사확대 움직임 아직… 장기간 예상


건설업계의 일감 수주와 관련해 뒷돈이 오간 것은 오랜 관행이라 새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검찰의 단골 수사메뉴로 등장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재건축 수주 경쟁이 활발히 진행되는 상황이라 검찰 수사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수사 범위가 전방위로 번질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에는 롯데건설의 재건축 실적이 두드러졌지만 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대림산업·GS건설 등 대형건설사 대부분이 최근 몇년 사이 재건축사업을 진행한 만큼 수사 범위가 넓어질 가능성은 충분하다. 검찰은 지난해에 송파 가락시영아파트 재건축사업장을, 올 들어서는 재건축·재개발사업장 18곳을 수사해 관련자들을 재판에 넘겼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수사가 크게 확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참여정부 시절인 10년 전쯤 재건축비리 수사가 대대적으로 있었고 이후에는 기업 차원의 비리가 거의 없었다"며 "경쟁입찰과 용역비 공개가 의무화된 지금은 과거와 같은 비리가 많이 사라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