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공유자전거 양대 기업의 하나인 모바이크가 한국시장 진출을 모색 중이다. /사진=모바이크 홈페이지 캡처 |
중국의 양대 공유자전거 기업의 하나인 모바이크가 한국시장 진출을 모색 중이다.
수원시와 자전거업계 관계자 등에 따르면 지난 7월 '수원시 무인대여 자전거 민간사업자 유치' 공고에 모바이크가 사업 의향을 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고 참가자격은 스테이션 없는 무인대여 자전거에 대한 KC 인증, 위치기반서비스(LBS) 허가 및 신고 등을 필한 자로서 이 요건을 갖춘 복수 기업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투입 시스템과 운영에 대한 모든 비용은 해당 기업이 부담하기 때문에 시 재정이 투입되지 않는다.
모바이크 외에 중국의 블루고고나 싱가포르의 오바이크 등 해외기업들이 수원시에 직간접적으로 뜻을 밝힌 상태다.
국내 스타트업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들은 정보통신 업계와의 컨소시엄 구성, 관련 제도 친숙성으로 규모나 서비스 경험에서의 해외기업 대비 상대적 열세를 만회할 수 있다.
국내외 기업들이 사업 의향을 타진함에 따라 수원시가 공식적인 한국의 첫 공유자전거 도시가 될 전망이다.
공유자전거는 프레임에 부착된 QR코드를 인식한 뒤 자전거를 이용하고 반납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무인대여 시스템이다.
공유자전거는 지자체가 운영하는 기존의 공공자전거와 차이가 있다. 운영주체가 민간이라는 점, 특히 공공자전거의 이용거점인 스테이션의 제약이 덜하다는 점에서 말단교통(Last Mile)으로서 편의성이 크다.
수원시는 오랫동안 공공자전거 도입을 추진하다가 공유자전거로 틀을 완전히 바꿨다. 대당 수백만원이 투입되는 재정 부담(초기시설 구축비 57억원과 연간 운영비 17억원, 3000대 기준)이 컸고, 실제 이용률에 대한 고민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앞서 수원시는 공유자전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도를 정비했다. 공유자전거의 이용거점이 될 자전거주차장 사용을 명시한 자전거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올해 2차례나 개정했다.
시민 편의를 위해 다수의 공유자전거 기업이 진출하도록 자전거주차장이라는 공공장소 사용에 대한 문을 열어둔 셈이다. 더구나 자전거 주차요금 명목으로 해당 기업에 대당 1만원(연간)을 받을 예정이다.
또 그동안의 시정 행보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보행권 확보와 방치자전거 예방 차원에서 공유자전거를 보관할 보도 등에 주차구획을 확보했다.
수원시는 2013년 이클레이(ICLEI·자치단체국제환경협의회)와 유엔 해비타트(HABITAT·인간정주위원회)와 함께 생태교통축제를 열어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행궁동을 비롯한 원도심 시민들은 한 달 동안 자전거를 비롯한 친환경 교통수단만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
수원시의 공유자전거는 공유경제라는 새로운 사회경제적 패러다임에서 각계가 주목하고 있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의 주무부처인 행정안전부도 제도 개선을 염두에 두고 있다. 지자체의 조례 개정만으로 공유자전거의 확산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공공시설과 공공장소 이용에 대한 협의, 자전거 자체에 대한 자율안전인증(KC), 전자인증, 위치정보 활용, 안전보험 등이 공유자전거가 풀어야 할 숙제다.
한편 모바이크는 오포와 함께 중국 공유자전거 시장을 90% 점유하고 있다.
코트라 등의 자료에 따르면 모바이크는 2016년 상하이에 론칭한 이래 베이징 등 중국 주요 33개 도시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2년도 채 안 돼 회원 1억명, 투입 자전거 100만대, 일일 이용 2000만회를 돌파했다.
올해는 눈을 돌려 싱가포르, 영국(맨체스터, 런던은 9월 예정), 프랑스, 이탈리아(밀라노) 등 해외로 진출했고 일본과 미국도 가시권에 뒀다.
이러한 흐름에 텐센트와 폭스콘 등 굴지의 기업들의 투자가 줄을 이었고 모바이크의 기업가치는 1조7000억원에 이른다는 소식도 있다.
또 폭스콘과의 제휴로 연간 3000만대 이상의 자전거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도 모바이크의 강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