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1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오찬 회동을 가진 가운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임한별 기자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와 1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오찬 회동을 가진 가운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임한별 기자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6일 오찬 회동을 갖고 북한 리스크 등 경제·금융상황에 대해 인식을 공유하고 의견을 교환했다.
김 부총리는 "우리 경제가 건실한 모습을 보여왔지만 최근에 북한리스크가 커지면서 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커지는 모습"이라며 "정부는 한국은행과 긴밀하게 협조를 할 것이고 시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겠다. 필요 시 시장안정조치를 단호하게 취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다행히 최근 북한 리스크가 진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북핵 리스크는 전개 양상에 따라 앞으로 변동성 확대 현상이 재연될 소지가 있다"고 우려하면서 "정부와 한은은 이에 대응해서 국내외 금융시장을 면밀히 지켜보면서 시장 안정을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동에서는 1400조원에 달한 가계부채 문제에 대한 논의도 빠지지 않았다. 다만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기술적인 얘기는 하지 않았고 정부와 한은이 협조해 나가기로 했다.

김 부총리는 "가계부채 대책은 원래 8월말에 발표할 계획에 있었는데 8월 말이 될지 9월 초가 될지 관계부처와 협의하고 있다"며 "한은에서도 여러 자료를 분석해서 주셨고 가계부채 문제는 정부 부처와 한은 간 협조해서 하자고 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 대책은 관계부처끼리 협의해서 이제 곧 발표할 계획에 있는데 가계부채 문제에 대해 한은도 적극적으로 임해서 논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부총리는 기준금리 조정 문제에 대해서는 한은의 고유 권한이라고 일축했다. 최근 청와대 한 관계자가 금리 조정 문제를 언급한 것에 대해서는 적절치 않은 모습이라고 우려했다.

김 부총리는 "수차례 천명한 것처럼 금리문제는 금통위의 고유 권한"이라며 "정부 당국자가 금리 문제에 대해 얘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정부의 누가 됐든 구체적으로 언급 한다면 한국은행 독립성에 좋은 얘기가 아니다. 저는 시종일관 통화당국에서 독립적으로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이에 "부총리님 의견을 전적으로 존중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