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0주년을 맞은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통 큰 결단을 내렸다. 비정규직 23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1300여명을 신규 채용하기로 한 것. 새정부의 역점 사업인 ‘정규직 전환 및 일자리 창출’에 발맞춰 파견근로 중심의 유통업계 고용형태를 정규직 중심으로 재편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우선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소속 비정규직 23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는 현대백화점그룹의 지난해 신규 채용 인원 2340명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정 회장의 방침에 따라 현대백화점은 고객 응대 및 사무 보조 직무 등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직원 14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현대그린푸드는 판매인력 등 외식 관련 직원 7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현대홈쇼핑 등 다른 계열사도 총 2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파견 및 도급회사와의 계약 종료 시 비정규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도 진행할 예정이며 추가 전환도 검토한다.
우선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소속 비정규직 23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는 현대백화점그룹의 지난해 신규 채용 인원 2340명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정 회장의 방침에 따라 현대백화점은 고객 응대 및 사무 보조 직무 등에 종사하는 비정규직 직원 14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현대그린푸드는 판매인력 등 외식 관련 직원 7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현대홈쇼핑 등 다른 계열사도 총 2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 파견 및 도급회사와의 계약 종료 시 비정규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도 진행할 예정이며 추가 전환도 검토한다.
![]() |
정지선 현대백화점그룹 회장. /사진제공=현대백화점 |
정규직 전환과 함께 하반기 신규 채용도 대폭 늘리기로 했다. 올 하반기 신규 채용 인력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0% 많은 134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매장에서 근무하는 협력사원(판매사원)의 복리 후생 개선에는 연간 50억원 규모를 투입한다. 이를 통해 협력사원을 위한 ‘현대 패밀리 프로그램’을 시행할 예정이다. 현대 패밀리 프로그램은 현대백화점에서 2년 이상 근무한 협력사원 1만명을 대상으로 한 복지프로그램으로 상품 구매나 문화공연, 문화센터 이용 시 정규직과 동일한 혜택을 제공한다.
현대백화점그룹 관계자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으로 내부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기업의 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선순환 구조가 사회전반으로 확산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유통업계에 정규직 전환 신호탄을 쏜 정지선 회장의 상생경영이 업계 전반에 퍼질지 관심이 모아진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502호(2017년 8월23~29일)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