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수오. 사진은 식품의약품안전처. /사진=뉴시스 |
백수오는 뜨거운 물로 추출한 형태인 '열수추출물'로만 섭취해야 한다. 분말 형태로 섭취할 경우 건강 위해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엽우피소'는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식품으로 이용하면 안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2일 이 같은 내용의 백수오 및 이엽우피소 독성시험·위해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식약처는 2015년 백수오를 원료로 하는 건강기능식품에 이엽우피소가 혼입된 사실이 알려지자 백수오 제품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독성시험과 위해평가를 실시했다.
독성시험전문기관에서 열수추출물과 분말을 시험 물질로 해서 투여용량별 및 실험동물(쥐)의 성별을 구분해 실시하고 외부 독성 전문가 그룹의 전문 평가를 통해 시험 수행 전반과 결과 처리 등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평가 결과 백수오는 분말이 아닌 열수추출물 형태로 가공한 식품(건강기능·일반식품)의 경우 모두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분말 형태를 사용한 동물시험에서는 심각한 체중 감소, 스트레스성 과민 반응, 사료 섭취 거부 등 행동학적 이상 반응, 사망 등이 관찰됐다.
이와 함께 이엽우피소의 안전성 평가 결과 열수추출물 형태로 고용량(2000㎎/㎏)을 투여한 경우 간독성(수컷)이 나타났고, 분말 형태에서는 저용량(500㎎/㎏)부터 고용량(2000㎎/㎏)까지 암컷은 부신·난소 등에 독성, 수컷에는 간 독성 등이 측정됐다.
식약처는 이번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백수오 분말을 원료로 사용하는 식품에 대한 사후 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현재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백수오를 앞으로는 열수추출물만 식품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음해 상반기까지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을 개정해 시행하고, 개정 전이라도 백수오 분말을 원료로 하는 가공식품이 제조·유통·판매되지 않도록 관리할 계획이다.
소비자들을 상대로는 백수오를 분말 형태로 직접 섭취하지 말고 열수추출물 형태로 섭취하도록 홍보를 강화하고, 백수오 분말·환 등 제품의 온라인 유통·판매 여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백수오 분말 함유 한약 제제에 대해서도 잠정 유통·판매 중단 조치하고, 향후 허가를 규제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백수오 분말 함유 한약 제제에 대해서도 잠정 유통·판매 중단 조치하고, 향후 허가를 규제하는 등 안전성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