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관광수지 적자. 사진은 인천 중구 인천국제공항. /사진=뉴시스 |
24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 열린 32개 해외지사 및 10개 국내지사 합동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하반기 인바운드(외국관광객 유치) 마케팅 대책 화상회의'에서 올해 방한객 수는 전년보다 27%(468만명) 감소한 1256만명 수준에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3월 중국의 금한령 조치 이후 방한 중국인 감소 비율은 전년 동기 대비 약 70%에 이르고, 최근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로 방한 관광 수요 감소세가 전 시장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모양새다.
중국에 이어 '제2 방한시장'인 일본의 후지TV FNN 방송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북한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이 92.1%에 달하는 등 방한 수요 위축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창수 관광공사 사장은 "내국인 출국자 수가 외국인 입국자 수의 2배를 넘는 기형적 상황이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이후 다시 10년 만에 재현될 것이 확실시된다"고 우려했다.
정 사장은 "더구나 최근 10년간 확대된 우리나라의 관광 시장 규모를 감안할 때 같은 2배수임에도 불구하고 2007년 당시에는 출입국자 간 수치 차이가 690만명 수준이었다면 올해는 그 격차가 약 1400만명으로 2배 이상이며, 관광수지 적자폭 또한 2007년 108억달러에서 올해는 사상최대 금액인 150억달러로 추정된다"고는 진단했다.
관광공사는 이에 따라 △시장 다변화 지속적 추진 △질적 성장으로 마케팅 전환 △중국·일본시장 조기 회복 △개별관광객(FIT) 전방위 유치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개최 지원 등 5대 전략과 시장별 대책을 수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