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테크니온 카이스트 미래혁신기술 공동 연구 협약.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차 테크니온 카이스트 미래혁신기술 공동 연구 협약.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그룹이 이스라엘 테크니온(TECHNION) 공과대학, 한국의 카이스트(KAIST)와 손잡고 차세대 신기술을 공동 연구한다. 아울러 이스라엘 내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 사업화를 구체화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가져올 신규 사업 플랫폼도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이에 지난 5일(현지시간) 현대자동차그룹은 '미래 모빌리티 연구를 위한 HTK(Hyundai Motor Company-TECHNION-KAIST) 글로벌 컨소시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테크니온은 과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이 1912년 설립한 이공계 연구중심 대학이다. 졸업생 중 60% 이상이 스타트업에 뛰어들 정도로 이스라엘이 '창업국가'로 발돋움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아울러 이스라엘에서 운영 중인 스타트업의 50% 이상을 테크니온이 배출했으며 이스라엘 주요기업 CEO 대부분이 테크니온 출신으로 알려졌다.


'HTK 컨소시엄'은 미래 혁신기술의 산실인 테크니온 대학에 모여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미래 모빌리티에 대한 통합적 공동 연구체계를 구축한다. 연구분야는 자율주행 시스템, 사이버 보안, 인공지능 등을 시작으로 첨단 미래 신기술 분야로 연구 프로젝트를 확대할 예정이다. 필요에 따라 해당분야에서 전문지식을 가진 스타트업도 공동연구에 참여시킬 예정이다.

'HTK 컨소시엄'의 또 다른 역할은 이스라엘 내 유망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사업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HTK 컨소시엄은 별도의 위원회를 구성,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우수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컨설팅을 진행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스라엘은 비 자동차 생산국이지만 자율주행, 커넥티드카에 필수적인 핵심 부품과 솔루션을 공급하는 스타트업들이 활발한 이례적 국가로 주목 받고 있다”면서 “3자 컨소시엄을 적극 활용해 미래기술 확보는 물론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카이스트 김정호 연구처장은 “이번 공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서 카이스트의 인공지능, 자율주행자동차, 반도체 기술과 이스라엘의 커넥티드카 솔루션 기술이 결합한다”면서 “현대차그룹의 미래 자동차 기술 수준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