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그룹 재건’이 한발 멀어졌다. 마지막 퍼즐인 금호타이어를 놓을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 우선매수청구권이라는 우월적 권리도 포기해 불확실성도 커졌다.
금호그룹은 지난달 28일 입장자료를 내고 “박 회장은 금호타이어 경영에서 사퇴함과 동시에 우선매수권을 포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호타이어 워크아웃 당시 사재를 출연한 정성을 인정받아 얻어낸 권리들을 모두 포기한 것. 박 회장은 원론적으론 금호타이어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람이 됐다.
![]() |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사진=머니투데이 이동훈 기자 |
KDB산업은행 등 금호타이어 채권단은 앞서 중국 더블스타와의 매각협상이 결렬되자 경영자이자 옛 사주인 박 회장에게 자구안을 요구했다. 적자와 유동성 악화로 법정관리 위기에 놓인 금호타이어를 살려낼 방도를 찾아내라는 것. 이는 박 회장이 가진 경영권의 당위성을 스스로 입증하라는 의미였다. 하지만 박 회장은 끝내 방도를 찾지 못했다. 명목상으론 ‘용퇴’지만 정황을 고려하면 채권단의 경질에 가깝다는 게 재계의 시각이다.
그러나 일련의 과정에서 잃기만 한 건 아니다. 박 회장은 일단 금호타이어 매각이 무산됐고 당분간 매각 추진이 어려워졌다는 점에서 ‘시간’을 얻었다. 자율협약을 통한 구조조정으로 채권단의 일부 부채 탕감 조치가 취해질 경우 차후 인수작업에서 자금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박 회장은 일단 그룹 지주사인 금호홀딩스의 지배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최근 금호홀딩스는 캐시카우인 금호고속을 흡수합병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금호홀딩스의 수익성과 재무안전성을 강화하고 안정적인 그룹 지배체제 구축을 위한 조치라는 게 그룹 측의 설명이다. 결국 금호타이어 인수를 위해 칼을 갈고 닦겠다는 의중인 셈이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509호(2017년 10월11~17일)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