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 후 퇴직까지의 누계소득을 계산할 경우 공무원이 민간기업에 다니는 회사원에 비해 최대 8억원가량 더 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29일 한국경제연구원이 발표한 ‘공모원 시험이 퇴직 전 누계소득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공무원 취업자의 누계소득은 민간기업 취업자에 비해 최대 7억8058만원 높아 공무원시험 준비로 인한 기회비용을 감안하더라도 정부 취업에 성공할 경우 누계소득을 대폭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보고서는 공무원의 퇴직 전 누계소득이 민간기업 종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이유로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 인상률과 늦은 퇴임 연령을 꼽았다. 처우 개선율과 호봉 인상률을 고려하면 공무원의 임금 인상률은 약 7%대 수준으로 대기업(1000인 이상 규모)의 6.2%보다 높으며 퇴임 연령 또한 평균 56~59세에 달해 대기업 평균인 52세보다 늦은 것으로 조사됐다.
공무원이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 연소득과 늦은 입사 연령에도 불구하고 높은 임금인상률과 늦은 퇴임연령으로 인해 퇴직 전 누계소득이 민간기업 종사자보다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경쟁을 통한 시장의 혁신이며 우수한 인재가 정부에 치중될 경우 민간시장의 혁신은 기대 자체가 불가능하며 따라서 공무원 보수체계에 대한 시급한 정비가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또한 공무원시험 준비 경험자 중 정부에 취직하는 비율은 10% 정도에 불과해 취업 준비생도 공무원시험 준비 경험이 정부 취직을 통해 퇴직 전 누계 소득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종내 정부가 아닌 민간기업에 취직할 경우 퇴직 전 누계 소득을 대폭 삭감시키는 부메랑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당부했다. 

/그래프=한경연
/그래프=한경연

윤상호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공무원이 직장의 안정성뿐 아니라 금전적인 면에서도 민간기업에 비해 선호될 수밖에 없는 직종이라는 점을 시사한다”며 “민간기업에 비해 과도하게 설정된 정부의 보수체계를 시급히 조정해 경제성장에 친화적인 인적 자본의 배분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연구위원은 이어 “취업 준비생도 7·9급 및 공무원 관련 시험 준비 경험자의 정부 취업률이 약 10%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해 정부가 아닌 민간기업에 취직할 경우를 대비해야 한다”며 “공무원 관련 시험을 준비한 경험은 퇴직 전 누계소득을 대폭 상승시키는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퇴직 전 누계소득을 대폭 삭감시킬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