켐코는 아연, 납, 은, 인듐 생산량 세계 1위인 고려아연의 자회사로 고려아연의 비철금속 제련사업 노하우를 활용해 연간 생산량 2만톤의 공장을 건설해 내년 3월부터 황산니켈을 생산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켐코의 지분을 취득함에 따라 2018년 중순부터 황산니켈을 우선공급 받게 된다. 이에 수급 안정성을 갖춰 향후 배터리 원재료 공급부족 현상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 |
황산니켈은 배터리의 4대 핵심원재료(양극재·음극재·전해액·분리막) 중 하나인 양극재의 주요 원재료로 고용량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양극재 내 비중은 80%에 이른다.
에너지 컨설팅업체인 우드 맥켄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240만대인 전기차 판매는 2025년 1420만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원재료인 니켈의 수요도 지난해 4만톤 수준에서 2025년에는 22만톤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기차 외에 가전제품이나 에너지저장분야의 배터리까지 포함하면 니켈의 수요는 27만 5000톤까지 늘어나게 된다.
LG화학은 원재료의 안정적 수급과 더불어 양극재 설비 또한 2020년에는 현재의 3배 수준으로 증설할 계획이다.
LG화학 관계자는 “성장이 본격화되는 전기차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현재 1조7000억원 수준인 전기차 배터리 매출을 2020년 7조원 규모로 늘리는 등 확고한 일등으로 자리매김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