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의 불만을 담은 현수막과 몰려든 관광객. /사진=김창성 기자
주민들의 불만을 담은 현수막과 몰려든 관광객. /사진=김창성 기자
서울의 대표 관광지인 북촌한옥마을이 무질서에 몸살을 앓는다. 몰려드는 관광객에 주민들의 삶이 위협받고 있어서다. 주민들의 고통이 날로 커지고 있지만 서울시나 종로구는 뾰족한 수가 없다. 관광지로서 북촌한옥마을의 가치를 포기할 수 없기 때문. 그러는 동안 주민들의 고통은 가중되고 관광객의 무질서는 멈추지 않고 증식한다.
◆“민속촌에 갇힌 전시물 같다”

“내 집에 살면서 왜 이런 불편을 감수해야 하나요?”


북촌한옥마을에 사는 A씨가 불만을 토로했다. 엄연한 내 집인데 관광객을 피하느라 자유롭게 드나들지 못하는 현실이 서글프다고 말한다.

A씨는 “1년 365일 밤낮 없이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아 스트레스가 심하다”며 “대문을 두드리고 담배꽁초를 버리고 침을 뱉고 술 마시고 소리를 지르고 정말 가관이다”며 한숨지었다.

A씨의 말대로 북촌한옥마을은 늘 북적인다. 각종 관광책자에 소개되고 서울시나 관할 종로구에서도 대표 관광지로 소개하며 적극 홍보한다. 또 해외에서 발간되는 책이나 관광 관련 온라인사이트에도 북촌한옥마을은 서울에서 꼭 가봐야 할 관광지로 소개된다. 그만큼 입소문을 타고 유명해져 모두에게 열린 공간으로 알려졌다.


최근 평일 낮에 북촌한옥마을을 찾았을 때도 끊임없이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졌다. 관광버스는 주기적으로 관광객을 이곳에 실어 날랐고 렌터카, 오토바이, 도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북촌한옥마을을 찾았다. 또 대여한 한복을 입은 관광객들은 북촌한옥마을 언덕을 오르내리며 사진을 찍고 담소를 나누느라 바빴다.
한옥마을 입구에 정차된 관광버스. /사진=김창성 기자
한옥마을 입구에 정차된 관광버스. /사진=김창성 기자
외국인 친구와 북촌한옥마을을 찾은 대학생 B씨는 “2년 전 영국에 어학연수를 갔을 때 만난 친구가 한국여행을 왔는데 이곳을 꼭 와보고 싶어 해 같이 찾았다”며 “처음 와봤는데 도심과 어우러진 예스런 풍경이 아름답고 친구도 만족스러워 한다. 나중에 또 오고 싶다”고 웃었다.  
북촌한옥마을 곳곳에는 B씨 같이 밝은 표정의 관광객이 널렸지만 이곳에 사는 주민들에게는 고통스러운 광경이다. 일부 수준 낮은 관광객의 몰상식한 행동이 주민들의 일상을 짓밟고 있어서다. 또 여기저기 유명 관광지로 소개되는 것도 전혀 반갑지 않다.

주민 C씨는 “사람 사는 집인데 마치 민속촌이나 박물관에 갇힌 전시물이 된 기분”이라며 “주민들의 고통은 아랑곳하지 않고 관광지 홍보에만 열을 올리는 서울시나 종로구의 행정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무질서’의 연속… 유명 관광지의 역설

“찰칵찰칵, 예쁘다, 나이스, 뷰티풀!… 어? 저건 뭐지?”

북촌한옥마을에서 관광객의 사진 찍는 소리와 마을의 풍경에 감탄하는 모습은 흔한 풍경이다.

예쁜 모습을 사진과 기억에 담느라 정신없는 관광객 틈 사이로 북촌한옥마을의 또 다른 풍경이 눈에 띈다. 한글·영어·일본어·중국어로 ‘조용히 해주세요’라는 푯말을 든 자원봉사자들이다. 주민들의 주거쾌적성이 위협받자 서울시와 종로구 등에서 내놓은 대책이다.

자원봉사자 D씨는 “관광객과의 물리적인 충돌은 피하면서 푯말을 보고 스스로 성숙한 시민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며 “시끄럽게 떠들다가도 푯말이나 벽에 걸린 현수막을 보면 목소리가 잦아들어 어느 정도 효과를 본다”고 설명했다.

북촌한옥마을에는 푯말을 든 자원봉사자가 골목길 곳곳에 배치됐고 각 가구 대문이나 벽에도 한글·영어·일본어·중국어로 된 ‘조용히 해주세요’라는 푯말과 현수막이 걸렸다.

하지만 주민들은 여전히 불편을 호소한다. 서울시는 북촌한옥마을에 ‘관광 허용시간’ 도입을 추진해 관광객이 집중적으로 몰리는 평일과 토요일 오전 10시~오후 5시를 관광 허용시간으로 지정했다. 또 새벽, 늦은 밤 시간대와 일요일은 관광객 출입을 제한하기로 하는 등의 방침을 내놨지만 강제성이 없어 소용없다고 토로한다.
한옥마을 입구에 몰린 관광객. /사진=김창성 기자
한옥마을 입구에 몰린 관광객. /사진=김창성 기자
주민 E씨는 “무턱대고 문을 열고 들어오는 사람이 있어 한옥 대문에 전자 도어락을 단 집이 많다”며 일부 몰상식한 관광객의 행태를 꼬집었다. 문틈으로 안을 들여다보는 건 다반사고 허락도 없이 덜컥 문을 열고 들어오는 이도 있다는 것.
그는 “남의 집에 무턱대고 들어와서 안을 둘러보거나 사진을 찍고 가는 몰상식한 관광객이 널렸다”며 “이는 엄연한 주거침입죄다. 한옥 대문에 어울리지 않게 전자 도어락을 달아 놓은 집이 여러 군데 보이는 건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인근 주민 F씨도 비슷한 입장. 그는 “담배, 노상방뇨, 구토, 불법주차 등 온갖 무질서가 만연한 게 한옥마을과 주변 주거지 주민이 겪는 공통된 고통”이라며 “몰상식한 관광객의 행태도 문제지만 뚜렷한 대책 없이 손 놓고 있는 서울시와 종로구청의 탁상행정도 문제”라고 꼬집었다.

☞ 본 기사는 <머니S> 제568호(2018년 11월28일~12월4일)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