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중·후반 '피자헛'과 '도미노피자', '빨간모자피자' 등등 수많은 피자 브랜드들이 각축을 벌이던 ‘피자시장의 전성기’가 있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그 많던 피자 브랜드들이 시야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편의점과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간편식·HMR의 성장, 그 외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먹을거리들이 늘어나면서 피자라는 아이템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듯 했다. 그러나 피자는 사라진 게 아니라 또 다른 방향과 방식으로 소비자들 가까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예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눈에 띄지 않을 뿐, 피자는 꾸준히 자신만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던 것이다.
![]() |
월간외식경영에 소개된 '선명희 피자'는 그런 사례에 딱 어울리는 브랜드 중 하나다. 2006년, 서울 중랑구 면목동의 좁은 골목 안에서 33m²(10평)규모 작은 피자집으로 시작한 이 브랜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가맹사업을 시작해 현재 전국에 17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진도산 흑미의 자가제빵’을 키워드로 내세워 건강한 피자를 강조하고 있는 것은 물론, 26~33m²(8~10평) 규모 매장에서 5000~6000만원의 월평균매출을 올리고 있을 정도로 실속 있는 운영실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게다가 지난해 말에는 ‘창업 시 3년간 로열티 면제’, ‘3년 유지 시 가맹비 반환’ 등의 제도를 만들어 시행한 바 있으며, 올해부터는 가맹점주의 휴식을 위해 본사 직원이 각 가맹점에 파견되는 ‘가맹점주 휴식일 위탁운영제도’를 점차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선명희 피자'를 론칭한 지 13년 만에 본격적인 가맹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프랜차이즈 사업은 빠르게 확장해나가기 시작했다. 가맹사업을 시작한지 몇 달 만에 10여개 가맹점을 오픈하게 된 거다.
‘진도 흑미가루를 사용한 자가제빵’이라는 슬로건도 이때부터 자주 사용했다. 건강을 생각한 ‘속이 편안한’ 피자, 이런 콘셉트로 매장 수가 점점 더 빨리 늘어나게 됐다.
33m²(10평) 내외의 매장당 월 매출이 5000~6000만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면서 주변을 둘러볼 여유도 가지게 된 거 같다.
정기적으로 동사무소와 연계해 결식아동이나 소년소녀 가장에게 피자를 100판 이상 만들어주는 일도 하게 된 거다. 올해 안엔 100호점 오픈이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