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대형 화재가 잇따르고 있다. /그래픽=이미지투데이 |
큰 화재가 잇따르자 화재사고가 증가한 것처럼 비춰지고 있다. 하지만 통계를 살펴보니 화재는 큰폭의 증감 없이 일정 발생 건수를 유지하는 모양새다. 특히 날씨가 건조해 화재가 집중된다는 1~4월에는 오히려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
날씨가 건조해 산불이 많이 발생하는 1~4월 화재 발생 건수를 보면 지난 2016년부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인포그래픽=이정화 기자(소방청 자료) |
1~4월 화재 발생, 2016년부터 오히려 감소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화재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 동안 1~4월 화재 건수는 지난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감소하다가 2016년까지 다시 늘어났다. 이후부터는 계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이 기간(1~4월) 화재 건수는 ▲2011년 1만9125건 ▲2012년 1만7015건 ▲2013년 1만6411건 ▲2014년 1만6884건 ▲2015년 1만7563건 ▲2016년 1만7897건 ▲2017년 1만7140건 ▲2018년 1만6304건 ▲2019년 1만5721건 ▲2020년 1만4530건 등이다.
![]() |
통계청 화재 발생 건수 데이터를 보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연간 화재 건수는 4만건대를 기록했다. /인포그래픽=이정화 기자(통계청 자료) |
연간 발생 건수도 2017년 이후 감소
연간 화재 발생 건수에서도 큰폭의 증감은 확인되지 않았다.통계청 화재 발생 건수 데이터를 보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화재 건수는 4만건대를 기록했다. 2019년에 화재가 가장 적게 발생했고 2015년엔 가장 많았다.
이 기간 화재 건수를 살펴보면 ▲2011년 4만3875건 ▲2012년 4만3249건 ▲2013년 4만932건 ▲2014년 4만2135건 ▲2015년 4만4435건 ▲2016년 4만3413건 ▲2017년 4만4178건 ▲2018년 4만2338건 ▲2019년 4만102건 등이다.
![]() |
2011~2018년 연간 화재 사망자는 250~33명 사이를 기록했다. /인포그래픽=이정화 기자(통계청 자료) |
화재 사망자는 매년 250~330명 수준
화재에 따른 사망자 역시 눈에 띄는 증감은 없었다. 2011년부터 2018년(2019년 통계 없음)까지 연간 화재 사망자는 250명에서 330명 사이를 기록했다.통계청 ‘사망원인통계’ 자료에 따르면 화재로 사망한 것으로 분류되는 ‘연기, 불 및 불꽃에 노출(X00-X09)’ 건수는 ▲2011년 254명 ▲2012년 311명 ▲2013년 299명 ▲2014년 323명 ▲2015년 269명 ▲2016년 283명 ▲2017년 322명 ▲2018년 316명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