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제곡물가격이 치솟으면서 관련 지수에 투자하는 농산물 ETF(상장지수펀드)가 양호한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사진=뉴스1 |
8일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전월(113.2) 대비 2.4% 상승한 116.0포인트를 기록했다. 지난 1월 세계식량가격지수(113.2포인트)가 전월대비 4.3% 올랐던 것 보다 상승폭이 줄었지만 지난해 2월과 비교하면 16.7% 급등한 수치다.
곡물은 1월(124.2포인트)보다 1.2% 상승한 125.7포인트 기록하며 지난해 2월과 비교해 26.5% 올랐다. 특히 수수 가격은 중국의 수요가 늘어난 탓에 전월대비 17.4% 급등했다. 옥수수는 세계수출물량이 감소하고 수입수요가 높아 가격이 상승했고, 쌀은 특히 인디카·자포니카종 수요 증가로 가격이 올랐다.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최근 3개월 기준 농산물ETF 중에서 삼성KODEX콩선물특별자산 ETF[콩-파생형](H)는 19.70%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어 ▲삼성KODEX3대농산물선물특별자산ETF[농산물-파생형](H)는 19.11% ▲미래에셋TIGER농산물선물특별자산ETF[농산물-파생형]는 17.19%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인 금ETF는 ▲삼성KODEX골드선물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금-파생형](H)(- 7.25%) ▲한국투자KINDEX골드선물레버리지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금-파생형](H)(-14.66%) ▲미래에셋TIGER골드선물특별자산상장지수투자신탁[금-파생형](H)(-7.14%) 등이다.
전문가들은 세계 경제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충격에서 회복하기 전까지 곡물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곡물가격이 저점을 찍었던 지난해 상반기 대비 소맥의 증가율은 30%, 옥수수 28%, 대두 46%에 달하기 때문이다.
중국 돼지 사육두수는 2018년 8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이후 감소세를 거듭한 이후 지난해 하반기부터 반등해 현재 발병 이전 대비 95%까지 회복했다.
이정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육두수 회복세는 중국 돼지고기 소비 증가 및 돈가 정상화를 위한 중국 정부 정책에 따라 꾸준히 지속될 예정으로 사료용 곡물(옥수수, 대두)을 필두로 한 국제 곡물가격 상승세는 올해 내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정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육두수 회복세는 중국 돼지고기 소비 증가 및 돈가 정상화를 위한 중국 정부 정책에 따라 꾸준히 지속될 예정으로 사료용 곡물(옥수수, 대두)을 필두로 한 국제 곡물가격 상승세는 올해 내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