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025년부터 4등급 경유차의 서울 4대문 안 운행이 제한된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세훈 시장은 전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대기질 개선 종합대책 '더맑은 서울 2030'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기준 20㎍/㎥인 초미세먼지 농도를 오는 2026년까지 국가 대기환경기준(15㎍/㎥)으로 낮추고 2030년에는 주요 해외도시 수준인 13㎍/㎥로 낮추기 위해 총 3조8000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는 오는 2050년까지 서울 전역에서 모든 내연기관차의 운행을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는 2035년에 모든 내연기관차의 녹색교통지역 운행을 제한하고 신규 등록을 금지한다. 2050년에는 이를 서울 전역 운행 제한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경유 마을버스 457대(전체 28%)를 오는 2026년까지 모두 전기차로 교체할 방침이다. 시는 최근 유가상승으로 운수회사의 전기버스 전환 수요가 늘고 있어 마을버스 폐차 시기에 맞춰 1대당 1억원의 교체 비용을 지원할 계획이다.
마을버스 전기차 전환과 함께 충전소 확충도 병행된다. 시는 차고지가 없는 운수회사의 충전문제 해소를 위해 민간 주차장, 공영차고지 등에 공용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배달용 오토바이(3만3400대)는 2025년까지, 택배 화물차(6100대)는 2026년까지 100% 전기차로 교체된다. 시는 택배사 및 전자상거래 업체와 업무협약을 통해 택배용 전기 화물차를 우선지원하고 물류센터에 화물차에 최적화된 충전기를 도입한다.
전기이륜차 충전을 위해 오는 2025년까지 공중전화부스를 활용한 배터리 교환형 충전소 3000기도 설치한다.
서울시는 서울에 진입하는 경기·인천버스의 39%(2438대)인 경유차를 압축천연가스(CNG)와 전기 버스로 교체하기 위해 지자체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
5등급 차량만을 대상으로 하는 운행제한도 전국 최초로 4등급 경유차로 확대한다. 시는 2025년부터 4등급 경유차의 4대문 안 운행을 제한하고 2030년 이를 서울 전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 서울에서 저공해 조치가 되지 않은 4등급 경유 차량은 8만1139대다. 시는 운행제한에 앞서 내년부터 4등급 경유차의 조기폐차 지원도 시작한다. 대당 400만원씩, 매년 1만대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