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커머스와 콘텐츠 부문의 선전으로 역대 분기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네이버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조4453억원, 영업이익 3802억원을 기록했다고 3일 전했다. 매출은 전년과 비교해 18.9%, 전분기보다는 1.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과 견줘 15.1%, 전분기 대비 2.0% 성장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역대 분기 최대 규모다.
사업 부문별 매출은 ▲서치플랫폼 8985억원 ▲커머스 6474억원 ▲핀테크 3408억원 ▲콘텐츠 4349억원 ▲클라우드 1236억원이다.
서치플랫폼은 전년동기 대비 0.3% 증가한 8985억원을 기록했다. 검색광고는 전년보다 3.5% 올랐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 속에서도 전 세계 유수의 광고 플랫폼 중 유일하게 매분기 연속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디스플레이는 경기 둔화 영향이 지속되며 전년과 비교해 9.5% 줄었다.
커머스 부문이 약진하며 이 같은 성과를 냈다. 커머스는 전년보다 41.3% 증가한 6474억원을 기록했다. 포쉬마크 편입 효과 제외 시에도 전년과 견줘 14.7% 성장했다. 이는 국내 커머스 시장의 평균 성장을 상회한 것이다. 중개 및 판매 매출은 브랜드스토어, 여행, 크림의 거래액 성장과 포쉬마크 편입 효과로 전년과 견줘 2배 이상 확대됐다.
핀테크는 전년보다 15.1% 상승한 3408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네이버페이 결제액은 15조2000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22.5% 증가했다.
콘텐츠는 전년보다 39.5% 성장한 4349억원이다. 글로벌 웹툰 통합 거래액은 전년과 비교하면 5% 증가한 4794억원이다. 웹툰 지식재산권(IP) 영상화 작품의 흥행과 인공지능(AI) 추천 강화 등 플랫폼 고도화로 이용자 활동성이 개선됐다.
일본 웹툰은 오리지널 및 연재작의 비중 확대로 거래액이 지속해서 성장했다. 스노우는 AI프로필, 이어북 등 신규 상품 흥행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36.1% 이상의 성장을 기록했다.
클라우드는 전년에 비해 30.3% 증가한 1236억원이었다. 네이버클라우드 플랫폼(NCP)의 매출인식 변경효과와 라인웍스의 유료 ID수가 확대되며 기업 간 거래(B2B) 매출이 전년보다 19.9% 증가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3분기에는 생성형 AI 서비스 라인업과 수익화 로드맵을 공개하며 앞으로의 AI 사업 방향을 제시했으며 각 영역별 성장세를 이어 나갈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며 "이번 디지털 트윈 기술의 사우디아라비아 사업 추진 건을 비롯해 서비스 뿐만 아니라 그동안 축적된 기술력을 활용한 글로벌 도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오는 7일 10월 30일 종가 기준 약 3053억원 규모의 기보유 자기주식 1%(발행주식의 1%)를 특별 소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