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들에 대한 행정처분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자 의대 교수들이 제자를 지키겠다며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의과대학의 모습으로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무관. /사진=임한별 기자
전공의들에 대한 행정처분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이자 의대 교수들이 제자를 지키겠다며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사진은 서울의 한 의과대학의 모습으로 기사의 직접적인 내용과 무관. /사진=임한별 기자

의대 증원에 반대해 집단 사직에 나선 전공의들에 대한 행정절차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의대 교수들도 집단행동을 예고했다. 의대 교수들은 제자들을 지키기 위해 집단행동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는 의료현장을 이탈한 전공의 7000여명에게 업무개시명령 불이행에 따른 면허정지 3개월 사전통지서를 통보하고 있다. 특히 집단행동을 주도한 전공의에 대해서는 경찰 고발도 검토하고 있다. 이에 의대 교수 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전공의에 대한 법적 처벌이 진행되면 제자들을 지키기 위한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밝혀다.


앞서 지난달 24일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이번 사태로 미래를 책임질 의대학생과 전공의가 처벌을 받거나 교육에 지장을 받으면 안 된다"며 "전공의 사직과 의대 학생 휴학이라는 일생 일대의 결정은 깊은 절망감에서 비롯되는 것이다"며 정부와 의사단체의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같은 날 연대 의대는 "우리 제자들에 대한 부당한 처벌이 현실화하면 스승으로서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

전공의에 대한 면허정지 사전통지서가 발송되자 지난 6일 10여 곳의 의대 교수들은 제자인 전공의들에 대한 행정처분이 본격화하면 집단행동에 나서겠다고 예고했다.

건국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는 "수련의와 전공의에 대한 협박과 처벌이 지속돼 그들이 병원으로 돌아올 수 없다면 교수직 수행의 의미와 명분이 없기 때문에 제자들을 지키기 위해 행동에 나설 것이다"며 "환자들의 곁을 끝까지 지킬 것이나 사태가 장기화 됨에 따라 한계에 부딪치면 심각한 파국에 이를 것이고 이는 무리한 정책을 일방적으로 추진한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전국 33개 의대 교수협의회는 "고등교육법상 대입 정원을 늘리는 건 교육부 장관 소관인데 증원 발표를 복지부 장관이 했다"며 정부를 상대로 '증원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울산의대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의대 교수 9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겸직해제 혹흔 사직서 제출 등을 진행해야 한다는 응답에 77.5% 동의했다.

전공의에 이어 의대 교수도 집단행동을 예고하면서 의료대란에 대한 우려도 더욱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