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게재 순서
(1) [르포] GBC 땅 10년 만에 두 배 상승… "3.3㎡ 7억원 추정"
(2) GBC 마천루 포기… "공사비 폭등 막을 듯"
(3) GBC 사업 꿈틀에 삼성-잠실 마이스 들썩
현대자동차그룹이 숙원사업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의 설계변경을 통해 층수와 높이를 줄이기로 하면서 공사비 향방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설계변경 계획을 놓고 원자잿값 폭등에 따른 공사비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는 업계의 시각이 팽배하다. 기존 설계인 105층 공사를 진행했을 경우 부지를 매입한 10년 전의 추정 공사비 2조원대에서 현재는 5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10년 만에 공사비 두 배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53.26포인트(p)로 10년 전과 비교하면 50% 이상 상승했다. 특히 초고층 건축 공사의 경우 고도의 시공 기술을 필요하기 때문에 평균 공사비보다 높다는 게 건설업계의 설명이다.
현대차그룹의 이번 결정에는 최고층 마천루라는 상징성을 대신해 '실리'를 추구한 것으로 보인다.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 투자와 실용성을 중시하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경영철학이 반영됐다는 의견이다. 실용성에 초점을 맞춘 것은 공사비 감축 효과와도 뗄 수 없는 관계가 된다.
GBC 사업 초기 예상 공사비는 2조원 수준이었으나 최근 물가 상승분을 고려할 때 이보다 더 높은 수준일 수밖에 없다. 설계변경 계획으로 건축 비용은 약 1조원 이상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공시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건 확실하지만 세부적인 금액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지속 가능성과 새로운 공간 계획도 고려했다"
|
현대차그룹은 설계변경을 결정한 가장 큰 이유에 대해 친환경 요소와 실용, 안전 등의 문제를 고려했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대내·외 경영 환경 변화와 그룹의 미래 전략 등을 반영해 실용적이고 효율적인 부분, 지속 가능성도 감안했고 새로운 공간 계획의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GBC에는 도심항공교통(UAM)을 비롯해 로봇·자율주행·인공지능(AI) 등 콘셉트의 미래도시형 테마를 접목한 공간 구성을 수립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초고층 계획이 변경돼 투자비 절감이 예상되지만 절감된 비용을 친환경과 미래기술 적용 등에 투자할 예정"이라며 "기존과 유사한 수준의 비용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높이를 추구하는 상징성 대신 여러 다양한 미래 기술을 기반한 환경 부분을 새로운 상징성으로 정립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건설업계는 GBC 층수 변경으로 공사비 등 비용 문제뿐 아니라 활용 공간과 부동산 가치 측면에서 이점이 더 많다고 전망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실적인 부분을 고려할 때 초고층 빌딩의 경우 임대사업도 쉽지 않기 때문에 보편화된 50층 건물을 두 개 짓는 것이 실용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