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아산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을 포함한 전국 10여개 대학병원 교수들이 3일 하루 휴진한다. 다만 휴진은 자율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얼마나 동참할지는 교수들도 파악하기 어렵다는 분위기다.
3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 주요 상급종합병원인 '빅5' 중 서울아산병원과 서울성모병원 교수들이 이날 하루 진료와 수술을 중단한다. 교수들의 정신적·신체적 피로가 한계에 다다르며 환자 안전을 지키기 위한 조치다.
울산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의 결정에 따라 서울아산병원과 강릉아산병원·울산대병원 교수들은 이날 하루 휴진과 진료 조정을 진행한 뒤 긴급 세미나에 참석할 예정이다. 비대위는 "예정된 진료와 수술은 (미리) 변경해 환자의 불편함은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2024년 의료대란과 울산의대 교육병원의 나아갈 길'이라는 주제로 긴급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에 앞서 오전 9시부터 병원 정문에서 의대 증원 중단을 요구하는 피켓 시위도 벌일 계획이다.
서울성모병원 교수협의회(교수협) 비대위도 이날부터 금요일은 외래 진료와 비응급 수술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도상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교수협 비대위원장은 "원칙적으로 금요일 휴진을 권고하나 의료진 상황에 따라 다른 요일 휴진도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위원장은 "자율적 판단에 달린 일"이라며 "요즘에는 비대위에 냈던 사직서를 찾아 개별적으로 의대·병원에 제출하는 교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전향적 입장 변화가 필요할 때라고 주장했다.
비수도권 지역 대학병원에서도 교수들이 휴진을 결의했다.
강원대병원·충북대병원·충남대병원(세종충남대병원 포함)·건양대병원·원광대병원·계명대 동산병원 교수들이 교수협 또는 교수 비대위 논의 끝에 이날 자체 휴진하기로 합의했다.
충남대병원은 병원 측이 공식적인 방침은 아니며 병원은 정상 진료를 한다고 선을 그었다. 전남대 의대·병원 교수들은 병원 측 설득에 이날 하기로 했던 휴진을 잠정적으로 철회했다.
앞서 지난달 30일 빅5로 꼽히는 서울대병원(분당·보라매 포함)과 세브란스병원(강남·용인 포함) 등 8개 대학병원 일부 교수들이 외래 진료를 축소·휴진했다.
하지만 예상보다 휴진에 참여하는 교수들이 적어 병원 현장에 큰 혼란은 일어나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 1일 브리핑에서 "(30일) 축소된 외래진료량은 최소 2.5%에서 최대 35%"라고 했다.
3일 10여개 대학병원 교수들의 휴진 상황도 각 병원과 정부 발표로 가늠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