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의대 교수들이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하기로 했던 기존 방침을 고수한다. 사진은 서울 서대문구 소재 연세의대. /사진=뉴스1
연세대 의대 교수들이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하기로 했던 기존 방침을 고수한다. 사진은 서울 서대문구 소재 연세의대. /사진=뉴스1

연세대 의대 교수들이 오는 27일부터 예정대로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다. 서울대·성균관대·가톨릭대 의대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유예한 것과 대비된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연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오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하기로 했던 기존 계획을 고수하기로 결정했다. 연세의대 교수 비대위는 지난 12일 무기한 휴진을 공식화한 바 있다.


연세의대 교수들은 휴진에 돌입하며 일반 환자의 외래진료, 비응급 수술 및 시술 등을 중단할 계획이다. 입원 병동, 응급실,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등 필수 분야 업무는 이어간다.

연세의대 비대위는 "현 의료정책의 심각한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의사표현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우리의 결정은 국민과 환자, 우리가 사랑하는 학교에 피해를 주고자 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환자들에 대해서는 "송구한 마음"이라며 "불편함을 기꺼이 감내해주시는 신뢰를 동시에 무겁게 받아들인다"라고 했다.


앞서 서울대·성대·가톨릭대 의대 교수들은 무기한 휴진 방침을 내려놨다.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 등에는 반대하지만 휴진으로 인해 중증환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는 최근 "정부는 불통이지만 우리는 국민의 목소리를 외면할 수 없었다"며 "전면 휴진을 중단한 이유는 당장 지금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그대로 둘 수 없어서다"라고 밝혔다.

성균관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는 "일정 기간 이상 휴진 추진 시 환자들이 겪을 불편과 불안감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가톨릭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도 "무기한 휴진의 시작은 유예하기로 했으나 다양한 형태로 잘못된 정부 정책에 대한 항의와 저항을 계속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