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일부터 응급실 진료 지원을 위해 군의관을 긴급 파견한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응급실에서 시민들이 이동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정부가 4일부터 응급실 진료 지원을 위해 군의관을 긴급 파견한다. 사진은 지난 3일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응급실에서 시민들이 이동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정부가 의료 대란 대응을 위해 군의관을 응급실 진료 지원에 투입한다.

4일 뉴시스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이날 강원대병원에 5명, 아주대병원과 이대목동병원에 각각 3명, 충북대병원과 세종충남대병원에 각각 2명 등 총 15명의 군의관을 파견한다.


정부는 현장의 어려움이 있지만 응급실이 붕괴할 정도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지난 2일 기준으로 응급의료기관 병상은 5925개로 평시인 지난 2월 1주차(6069개) 대비 97.6%에 해당한다. 또 전체 409개 응급실 중 99%인 406개소가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다만 건국대충주병원과 강원대병원, 세종충남대병원은 응급실을 단축 운영 중이고 이대목동병원도 매주 수요일 야간 진료를 제한하는 등 일부 기관에서 운영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최근에는 응급실 11곳에 연락했으나 수용되지 못한 만 2세 여아가 한 달째 의식불명 상태에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정부는 군의관, 공보의 파견, 진료지원간호사, 촉탁의 채용 등을 통해 인력 보강하고 있다. 오는 9일부터는 235명의 군의관·공중보건의사를 추가 파견할 예정이다.


특히 그동안 상급종합병원 위주로 파견했던 군의관·공보의는 이번 8차 파견부터 응급실 운영이 중단되거나 중단될 위기인 위험기관 중심으로 집중 배치한다.

또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250% 가산하고 올 하반기에 800여개, 내년 상반기에 1000개까지 저평가된 수가를 인상한다.

아울러 정부는 이르면 추석 연휴부터 경증·비응급 환자의 대형병원 응급실 본인부담률을 90%까지 올리는 방안을 적용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