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식도역류 질환 치료제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제약사끼리 협업하는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5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제일약품의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는 국산 37호(4월 허가) P-CAB신약 '자큐보' 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해 동아ST와 공동판매 계약을 체결했다.
자큐보는 온코닉테라퓨틱스가 개발한 차세대 P-CAB 계열 신약이다. 최근 위식도역류질환 등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에서 기존 프로톤펌프저해제(PPI) 제제보다 효과가 좋은 P-CAB 계열 치료제가 인기를 끌면서 시장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양사는 국내 병의원을 대상으로 자큐보의 영업·마케팅 활동을 공동으로 진행한다.
동아에스티는 ▲모티리톤 ▲가스터 ▲스티렌 등 블록버스터 소화기 품목을 다수 보유해 론칭·발매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갖추고 있다. 반면 제일약품은 소화기 분야에서 오랜 기간의 영업∙마케팅력을 앞세운 성공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다. 제일약품은 동아에스티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공고히 자큐보정 시장 진입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자큐보는 기존 PPI 제제의 단점으로 지적됐던 ▲느린 약효 발현 ▲짧은 반감기 ▲식이 영향 ▲약물 상호작용 문제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PPI 제제는 최대 효과를 나타내기까지 4~5일이 소요된다. 자큐보정은 복용 즉시 효과를 발휘해 긴 반감기로 야간 속쓰림 증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산에 의해 활성화될 필요가 없어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어 환자들의 복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다. 제일약품은 자큐보가 허가 받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애 이어 ▲위궤양 ▲소염진통제 ▲유도성 소화성 궤양 예방 등 다양한 적응증을 확대할 계획이다.
성석제 제일약품 대표는 "이번 협력으로 자큐보가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도약하는데 중요한 발판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자큐보의 우수한 효과와 안전성을 바탕으로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 방안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HK이노엔+보령' vs '대웅제약+종근당'
HK이노엔으로 2018년7월 케이캡(국산 30호)을 출시했다. 종근당과 공동판매를 진행한 HK이노엔의 케이캡은 2019년 304억원·2020년 771억원에 이어 이듬해 1107억원을 기록했다. 이후에 2022년 1321억원·2023년 1582억원 등 지속 상승세를 보인다.HK이노엔은 올해 초 종근당과의 계약을 종료하고 보령과 손을 잡았다. 코프로모션 대상 품목은 케이캡 전 제품(▲케이캡정 ▲케이캡구강붕해정)과 보령의 대표제품인 카나브 제품군 4종 ▲카나브 ▲듀카로 ▲듀카브 ▲듀카브플러스다.
대웅제약은 2022년7월 펙수클루(국산 34호)를 선보인 이후 올해 초 종근당과 공동판매에 나섰다. 대웅제약이 종근당과 손을 잡고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케이캡을 추격하고 있다.
이에 따라 P-CAB 계열 시장은 1위 케이캡(HK이노엔·보령)과 2위 펙수클루(대웅제약·종근당)에서 3위 자큐보(제일약품·동아ST)의 대결 구조가 됐다.
HK이노엔 관계자는 보령과의 공동판매에 대해 "블록버스터 신약을 탄생시킨 두 회사의 협력은 그동안 찾아보기 어려웠던 새로운 시도다"며 "신약 성공 경험과 영업·마케팅 역량을 상호 공유하면서 양사의 시너지를 극대화해 나갈 것"이고 강조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양사는 P-CAB 신약을 성공적으로 론칭한 경험을 살리겠다"며 "이번 협력을 업계 내 동반 성장의 모범·성공 사례로 만들고 펙수클루 1품1조(1제품 1조원 매출) 실현을 위한 발판으로 삼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의약품 통계정보 유비스트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P-CAB과 PPI 제제의 매출액은 총 9127억원에 달한다. 이 중 P-CAB이 차지하는 비율은 23.8%(2176억원)으로 분석된다. P-CAB의 시장 점유율은 출시 첫해인 2019년 상반기 당시 4.0%에서 꾸준히 상승해 2024년 상반기 현재 27.1%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