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대학교 교직원의 국가근로장학금 과다청구 및 부정수급 사건을 제 식구 감싸기로 끝날 수 있는 학교 자체 감사가 아니라 경찰 수사로 이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사진=뉴시스
신한대학교 교직원의 국가근로장학금 과다청구 및 부정수급 사건을 제 식구 감싸기로 끝날 수 있는 학교 자체 감사가 아니라 경찰 수사로 이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사진=뉴시스

신한대학교 교직원의 국가근로장학금 과다 청구 및 부정수급 사건을 학교 자체 감사가 아니라 경찰 수사로 이어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뉴시스에 따르면 장학재단은 신한대 산학협력단에서 근무하던 직원 A씨의 국가근로장학금 4200만원 부정수급 사태와 관련해 지난 2일 신한대를 방문해 내용 전반을 확인했다.


장학재단 관계자는 "신한대 부정수급 문제에 대한 원인과 대학의 감사 현황 및 향후 계획 등의 확인을 위해 모니터링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장학재단은 학교 자체 감사 결과를 검토한 후 공공재정환수법 상 추가적인 현장 조사를 실시할 예정으로 부정수급이 최종 확인될 경우 장학금 환수와 사업참여 제한 등의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상위기관에서도 이번 사건을 중대하게 보고 있는 만큼 단순히 직원 A씨의 개인 일탈로 마무리될 게 아니라 진상 규명을 위해 경찰 수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신한대 자체 감사는 자칫 제 식구 감싸기로 끝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그 이유다.


익명을 요구한 신한대 관계자는 "강성종 총장과 강 총장 주변에서는 이번 문제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 "학교 내부의 치부가 드러난 이상 (문제점을) 개선하고 바로 잡으려 하기보다는 그냥 '쉬쉬'하고 넘어가려는 분위기가 엿보인다"고 귀띔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학교 안팎으로는 여러 의혹 등이 터져 나오고 있다.

먼저 장학재단과 학교의 수시·정기 점검에도 불구하고 A씨가 무려 2년 동안 장학생 15명을 상대로 부정행위를 들키지 않았다는 점에서 단독 부정이 아닌 윗선의 개입이 충분히 있을 수 있다는 의혹이 있다.

또 장학생 중에서 A씨가 과다 청구한 장학금 중 일부를 나누어 가지는 등 A씨의 부정행위에 학생들도 조직적으로 가담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A씨는 학교 조사에서 자신의 근로장학금 부정수급 규모가 4200만원이라고 답변한 것으로 알려졌지 이는 A씨의 주장에 그칠 뿐 정확하다고 볼 수 없다는 의견도 높다.

일선 대학교 관계자들은 "학교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내부 감사만 진행하는 건 투명하지도 않고 '제 식구 감싸기'에 불과하다"며 "신한대가 경찰 수사 의뢰 없이 자체 감사만으로 이번 문제를 매듭지으려 한다면, 한국장학재단이나 교육부 차원에서라도 직접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는 방안을 고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앞서 신한대 관계자는 "자체 감사에서는 학생들이 과다 청구된 돈을 나눠 갖진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답변했으나 이후 취재진의 연락에 전혀 응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