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사진=현대차
현대차가 3분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사진=현대차

현대자동차가 24일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올해 3분기 매출액 42조9283억원(자동차 34조195억원, 금융 및 기타 8조9089억원), 영업이익 3조5809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현대차는 올해 3분기(7~9월) 글로벌 시장에서 101만1808대를 판매하며 전년 동기와 비교해 3.2% 감소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공장 하계 휴가 및 추석 연휴 물량 감소에도 신형 싼타페 하이브리드를 필두로 SUV와 하이브리드차 판매가 늘어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16만9901대를 기록했다. 해외 시장에서는 신형 싼타페, 투싼 페이스리프트의 인기에 힘입어 북미 지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9.3% 증가한 30만319대를 기록했으나 중국과 유럽 지역의 수요 감소로 4.2% 하락한 84만1907대가 팔렸다.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는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와 북미 지역 투싼 하이브리드 판매 확대로 전년 대비 19.5% 증가한 20만1849대를 기록했다.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42조9283억원으로 집계됐다. 선진 시장 및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 판매 호조에 따른 믹스 개선과 가격 인상, 우호적인 환율 등에 힘입어 매출 상승세를 이어 나갔다.


매출 원가율은 북미, 유럽 지역 인센티브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포인트 상승한 80.2%였다. 매출액 대비 판매 관리비 비율은 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0.2%포인트 오른 11.5%로 집계됐다. 아울러 북미 그랜드 싼타페에 대한 선제적인 보증 연장 조치로 약 3200억원의 충당부채 전입액이 발생한 결과로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6.5% 감소한 3조5809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률은 8.3%.
2024 제네시스 챔피언십 대회장 전경 /사진=현대차
2024 제네시스 챔피언십 대회장 전경 /사진=현대차

현대차는 주요 시장 성장률 둔화와 환율하락, 금리인하 등 매크로 불확실성 증대와 중동·우크라이나를 비롯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으로 비우호적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와 관련해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경쟁 우위 확보를 목표로 ▲리스크 관리 역량 제고 ▲품질 확보 ▲원가 개선 ▲판매 효율화 ▲글로벌 역량 확대 ▲내부 혁신 ▲대내외 소통 강화 등을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품질 확보를 위해서는 제조 분야에 이미 구축을 완료한 '품질완결시스템'(HIVIS : High-tech Integrated Vehicle Inspection System/HIPIS : High-tech Integrated Powertrain Inspection System)을 기반으로 완벽한 품질을 구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더욱 고도화 한다. SDV 개발과 연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미래 품질 경쟁력 제고 방안도 마련한다.

GM, 웨이모와의 협업 등 완성차는 물론 수소, 자율주행과 같은 미래 분야에서 전방위적인 파트너십 확대로 글로벌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적극적으로 탐색한다. 이를 통해 급변하고 있는 글로벌 자동차산업 경쟁 구도에서 영향력 및 브랜드 위상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현대차는 주주 환원을 위한 2024년 3분기 배당금을 지난 1분기와 2분기에 이어 주당 2,000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전년 분기 배당(1,500원) 대비 33.3% 늘린 금액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적극적이고 투명한 주주환원 정책 확립을 통한 기업 가치 제고를 목표하고 있다"며 "시장과 약속한 주주환원 정책을 반드시 이행하고, 앞으로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지속 노력할 것" 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