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자본 확충이 전세대출 확대 신호로해석될 수 있다는 우려에 채권 발행 일정이 돌연 중단됐다. 사진은 주택도시보증공사 서울북부지사. /사진=뉴시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자본 확충이 전세대출 확대 신호로해석될 수 있다는 우려에 채권 발행 일정이 돌연 중단됐다. 사진은 주택도시보증공사 서울북부지사. /사진=뉴시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자본 확충을 위한 채권 발행 일정이 중단됐다. 전세보증금 반환보증을 운용하는 HUG가 자본을 늘릴 경우 전세대출 확대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 금융당국이 제동을 건 것이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HUG는 최대 7000억원 규모의 채권(신종자본증권)을 발행 절차를 전날 멈췄다. 지난 28일 금융당국에 채권 발행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다음날 기관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수요 예측을 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관계부처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면서 발행 작업이 멈췄다. 가계부채 증가 우려에 금융당국이 제동을 건 것으로 풀이된다. HUG의 자본 확충으로 전세보증보험이 확대되면 시장에 전세자금 대출이 확대된다는 인식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HUG는 절차 중단 사유를 파악하고 있다.

앞서 HUG는 전세 사기 등으로 집주인 대신 세입자에게 전세금을 돌려주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위변제액이 올 들어 9월까지 3조220억원에 달했지만 1~8월 집주인에게 회수한 금액은 8%대로 올해 3조원대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HUG는 신종자본증권을 통해 자본을 늘리려 했다.

HUG의 손실이 누적돼 자본금이 줄어들면 전세보증 가입이 중단될 수 있다. HUG의 보증 한도는 자본금과 연동되기 때문이다. 현재 보증한도는 자본금의 90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