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당선됐다.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Fed(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이 위축된 국내 부동산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7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월 9050건 ▲8월 6356건 ▲9월 2993건으로 급격히 꺾였다. 9월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등 대출 규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매도·매수 모두 관망세에 접어든 상황이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과 매수 심리도 2주째 하락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넷째주(28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08%로 2주 연속 축소됐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0.6으로 전주(101.0)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10월 셋째 주(101.6→101.0)에 이어 2주 연속 하락이다.
얼어붙은 국내 부동산시장은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함영진 우리은행 리서치랩장은 "현재 미국 경기가 좋기 때문에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로는 금리를 쉽게 내릴 것 같지 않다"며 "미국 금리 인하 속도가 둔화될 경우에는 국내 금리 인하의 속도도 낮아질 수 있어 부동산시장의 자금 유입이나 구매력 등이 제한되는 경향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함 랩장은 "가격 상승 제한 이슈를 고려한다면 집값의 경우 수도권은 강보합이나 일부 상승, 지방은 하락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각에서는 금리 인하로 경기 부양과 증시 상승 효과가 발생할 경우 이를 자신의 업적으로 과시할 수 있어 인하를 추진할 것이라는 예상도 있다. 6~7일(현지시각) 열리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하 여부가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