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인재 특별시, 화성'
정명근 화성시장이 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시정브리핑에서 화성특례시의 미래비전을 선언했다.
"특별한 도시에는 특별한 비전이 필요하다"고 말문을 연 정 시장은 "2040년 인구 160만명의 '울트라 메가시티'가 될 화성시가 미래에도 가장 역동적인 성장 도시"라고 강조했다.
정시장의 화성 비전은 '과학기술 인재확보'. 이 때문에 과학고와 마이스터고 유치는 화성비전을 완성시키는 필수 요건이다.
여기에 화성시를 △4대 과학기술원(KAIST ․ GIST ․ DGIST ․ UNIST) 통합 연구의 거점기지로 자리매김하면 입체적인 과학인재 육성 청사진이 완성된다.
화성시는 이미 2021년부터 카이스트와 사이언스 허브를 운영해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핵심인재를 육성해 왔다.
카이스트 반도체설계교육센터(IDEC)는 시스템 반도체 설계 전문가를 현재까지 총 480명 배출해 236명을 반도체 산업에 취업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정 시장이 또 주목하는 것은 인공지능.
그는 인공지능이 시민의 삶과 사회전체를 변화시키는 핵심동력이란 점에서 시민들의 인공지능 활용능력과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 인공지능에 수반하는 윤리교육을 시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화성시는 인공지능과 연계한 미래교통인 도심항공교통(UAM)의 버티포트와 전국 최대 규모의 자율주행 리빙랩 실증도시를 구축 계획도 밝혔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급속한 변화와 치열한 경쟁의 시대에는 과학기술 발전이 국가의 미래를 좌우한다"며 "'과학기술인재 특별시 화성'을 만들어 대한민국의 희망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