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사상~하단선 도시철도 건설 중 발생한 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이 시공 변경으로 인한 차수 기능 저하와 기존 시설물 접합부 손상으로 밝혀졌다.
부산시와 지하사고조사위원회는 8월20일과 21일 연이어 발생한 사고에 대한 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8월20일 사고는 우수관 역류로 차수벽에 구멍이 생기며 유실토와 함께 우수가 빠져나간 결과 발생했다. 당초 설계된 'C.I.P. 겹침주열말뚝' 대신 지하매설물 제약으로 'H파일+토류벽콘크리트 및 SGR 차수공법'이 사용됐으나 실트질 모래층에서 차수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드러났다.
8월21일 사고는 기존 우수박스와 신설 우수박스 접합부 파손으로 인한 유출수와 지속적인 차량 하중이 결합해 발생했다.
조사위는 재발 방지 대책으로 설계 변경 구간 지반침하 위험도 평가와 '고압분사식 차수그라우팅' 적용, 벽체 품질 확보를 위한 철근 노출, 시멘트 채움 불량 보완, 계측값의 신뢰성 개선을 제안했다.
부산시는 9월21일 2공구 사고 조사 결과와 연계해 종합적인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