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 전세사기 피해 1위를 기록한 관악구에서 전세사기에 대응하는 테스크포스(TF)를 출범하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8월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전세사기특별법(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서울 내 전세사기 피해 1위를 기록한 관악구에서 전세사기에 대응하는 테스크포스(TF)를 출범하기로 했다. 사진은 지난 8월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전세사기특별법(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전세사기 피해 수 1위를 기록한 서울 관악구에 대해 관악경찰서가 전세사기 대응 강화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한다.

21일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경찰은 오는 22일 제1차 전세사기 대응 강화 TF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해당 TF는 ▲수사분과 ▲상담·법률지원 분과로 구성된다.


수사분과는 접수된 전세사기 사건을 '전담 수사관'에 배당하고 개별 사건들이 연관된 정황이 발견되면 병합해 집중 수사한다. 상담·법률지원 분과는 변호사 자격증을 보유한 경찰 인력을 중심으로 전세사기 피해 초기 상담을 제공한다. 또 사건과 관련 법리를 검토하고 쟁점을 살필 예정이다. 피해자가 다수인 사건은 경찰서 집중관리 사건으로 지정된다. 이 외에도 경찰은 서울중앙지검과 수사실무협의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지난달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의 '기초지자체별 전세사기 피해주택 소재지 현황'에 따르면 전세사기 피해를 인정한 주택은 서울시 내에서 누적 6001가구에 달했다. 서울 25개구 중 가장 많은 피해주택이 발생한 곳은 관악구로 총 1334가구 주택이 전세사기 피해를 입었다. 지난 6월에는 관악구에서 전세사기로 100억원대 피해가 발생했고 60여명이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다.

경찰 관계자는 "관악구에 전세사기 피해 가구가 많고 피해자 대다수는 20~30대 사회초년생"이라며 "TF를 운영해 전세사기 범죄를 근절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