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에이즈) 백신 개발이 사실상 성공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일(이하 현지시각) 다수의 외신에 따르면 위니 비아니마 유엔 에이즈계획(UNAIDS) 사무총장은 이날 세계 에이즈의 날을 맞아 미 제약회사 길리어드가 새로 개발한 레나카파비르 백신을 환영했다. 다만 위험에 처한 나라들에서 이 백신을 사용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언급했다.
레나카파비르는 1년에 2번 접종해야 한다. 지난달 27일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을 100% 예방했고 남성에게도 거의 비슷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길리어드는 HIV 감염률이 높은 120개 빈곤국(대부분 아프리카, 동남아, 카리브해)에서 저렴한 복제약 판매를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감염률은 훨씬 낮지만 급증하고 있는 남미 지역은 제외돼 에이즈를 막을 중요한 기회를 놓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UNAIDS는 지난해 에이즈로 인한 사망자 수를 약 63만명으로 추산했다. 2004년 정점을 찍은 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이에 대해 "세계가 현재 역사적 갈림길에 서 있다"며 "전염병을 종식시킬 기회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레나카파비르 백신은 이미 미국, 캐나다, 유럽 등에서 '선레카'라는 에이즈 치료제로 판매되고 있다. 길리어드는 선레카를 에이즈 백신으로 승인받아 HIV 예방에 사용하도록 승인을 요청할 계획이다.
현재로선 콘돔, 매일 복용하는 알약, 질 링, 2달에 1번씩 맞는 주사 등을 통해 에이즈 감염 예방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1년에 2번 맞는 레노카파비르가 치료받기를 두려워하는 소외 계층에 특히 유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복제약 판매가 허용되는 120개국에는 전 세계 HIV 감염의 70%를 차지하는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 18개국이 포함됐다. 하지만 페루,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칠레, 과테말라, 콜롬비아 등 15개 남미 국가 옹호 단체들은 지난달 28일 길리어드에 레노카파비르에 대한 접근성이 지나치게 불평등하다고 호소했다. 이와 함께 남미 국가들에서도 복제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을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다.
현재 노르웨이, 프랑스, 스페인, 미국 등에서 선레카 치료를 위한 연간 비용은 4만달러를 넘는다. 하지만 복제약 생산이 1000만명분으로 확대되면 40달러의 비용으로 생산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