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자대학교가 앞서 총학생회가 요구한 사과 요구를 수용할 수 없음과 불법 행위에 대한 엄격한 책임을 물을 것을 강조했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서울 성북구 동덕여대 캠퍼스 바닥에 레커칠이 가득한 모습. /사진=뉴시스
동덕여자대학교가 앞서 총학생회가 요구한 사과 요구를 수용할 수 없음과 불법 행위에 대한 엄격한 책임을 물을 것을 강조했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서울 성북구 동덕여대 캠퍼스 바닥에 레커칠이 가득한 모습. /사진=뉴시스

동덕여자대학교가 앞서 총학생회가 요구한 사과에 대해 "폭력을 행사한 당사자가 사과를 요구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동덕여대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2일 '총학생회에 대한 대학의 입장문'을 내고 "이번 사태의 위법성에 대하여 일말의 반성과 책임감 없는 총학생회의 태도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비대위는 "이번 사태는 두 단과 대학의 발전방향의 하나인 공학 전환 논의 중에 발생했다"며 "총학생회는 이를 전면 철회하고 사과하라는 주장을 하는데 무엇을 사과하라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학은 학생뿐 아니라 교수, 직원, 동문들도 포함돼있다. 이들은 모두 권리와 책임을 가지고 있는 학교의 구성원"이라며 "일부 학생들이 반대하니까 무조건 논의를 철회하라는 주장은 억지이자 독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더욱이 반대 의사를 폭력으로 행사한 당사자가 오히려 대학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불법 행위에 대해 반성하지 않는 총학생회의 태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비대위는 "불법시위와 점거를 하고 있는 총학생회는 조건부 점거 해제를 요구하고 있다"며 "불법 점거에 대한 반성과 책임감은 보이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어 "또한 이번 불법행위는 총학생회가 주동한 것이 아니라 일부 흥분된 학우들의 우발적 행동이었다고 이해하기 어려운 변명만 하고 있다"며 "치밀한 계획에 인한 불법 점거, 도가 넘는 위법 행위 등에 대한 증거들은 넘친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대학은 불법행위의 참여 정도를 엄격히 구분할 것"이라며 " 총학생회는 지금이라도 불법행위의 잘못과 책임을 인정하고 빨리 점거를 해제하라"고 밝혔다.

앞서 총학생회 '나란'은 지난달 30일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본관 점거 해제 재고 의사를 보이며 '비민주적 진행 방식'에 학교 측이 사과하고 학생 의견 수렴 구조체를 구성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이들은 그간 본관 점거 농성 및 시위에 참여하느라 자발적인 수업 거부에 나섰던 학생들의 출결 정상화를 요구했다.

출결 정상화 요구에 대해 비대위는 "협박과 종용에 의해 불가피하게 수업 거부에 동참한 학생들이 있다는 점은 참작할 것"이라면서도 "더 이상의 수업 방해는 용납할 수 없다. 본관 점걸 인한 학사행정업무 차질 역시 수업 방해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총학생회를 비롯한 주동 학생에게 엄격한 책임을 묻겠다는 의지를 내보이기도 했다. 비대위는 "아직도 불법행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은 지금이라도 본인이 져야 할 책임에 대해 이성적으로 판단하길 바란다"며 "점거가 길어질 수록 책임은 무거워진다. 대학은 엄정하게 대응할 것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고 불법행위를 자행한 학생들에게 책임을 물을 것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