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1분기를 목표로 '국가 인공지능(AI) 전략' 수립을 위해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지원단이 이달 내 출범한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2일 첫 워크숍에서 인공지능 분야 주도권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범국가적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산업계와 학계 등 각계의 전문가들로 분과위원회 구성을 마무리하고 이날 서울 종로구 소재 포시즌스 호텔에서 첫 워크숍을 개최했다. 워크숍에서는 인공지능 강국(G3) 도약을 위해 정부와 기업, 민간 전문가가 원팀이 돼 혁신역량을 총결집할 수 있도록 위원회의 미션과 비전을 공유하고 '국가AI전략' 수립을 위한 분과별 활동 계획, 중점 추진과제 등을 논의했다.
위원회는 ▲기술·혁신 분과 ▲산업·공공 분과 ▲인재·인프라 분과 ▲법·제도 분과 ▲안전·신뢰 분과 등 5개 분과로 구성했다.
AI 컴퓨팅 인프라 등 인공지능 관련 현안에 대해 신속히 논의하고 대응하기 위해 특별위원회도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교육 활성화 등 특정 주제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위해 분과와 특별위원회 내에 소위원회도 둘 방침이다.
나아가 위원회 분과와 특별위원회 회의 지원, 정책과제 발굴 등 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지원하게 될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지원단이 12월 내 출범 예정이다.
염재호 부위원장은 "인공지능 분야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민관이 협력해 범국가적인 역량을 결집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대한민국을 재설계하고 인공지능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구심점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