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DB
ⓒ News1 DB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실종자를 찾는 실종 경보 문자가 '안전 안내 문자'로 통합, 잦은 발송으로 피로감을 높인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정부가 발송 방식을 바꾸기로 했다.

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재난문자의 중복 발송을 줄이기 위해 '재난문자방송 기준 및 운영 규정' 예규를 올해 말까지 개정하면서 실종 안내 문자 발송 방식도 바꾸기로 했다. 현재 재난문자서비스는 위급재난, 긴급재난, 안전 안내로 나뉘는데 실종 경보도 안전 안내로 분류돼 문자로 발송되고 있다.


행안부는 안전 안내문자의 과도한 문자 송출로 시민의 경각심은 떨어뜨리고, 피로감만 높인다는 지적이 제기됨에 따라 실종 경보는 경찰청 자체 발송으로 바꾸기로 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실종 경보문자는 전체 안전 안내 문자의 약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종 경보 문자가 분리된다면 시민들은 휴대전화 설정을 통해 실종자 안내 문자만 따로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만 문자 송출로 인해 실종자를 조기 발견하는 성과도 있어, 경찰청은 자체적인 메시지 발송 체계를 도입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실종 안내 문자 도입 초기인 2021년 6월부터 12월까지, 12건에 불과했던 실종자 발견 횟수는 지난해 118건으로 10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은 시민이 느낄 수 있는 불편함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송출 시간과 기준을 준수하고, 매뉴얼을 재정비할 방침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실종 안내' 시스템 분리는 이르면 내년 6월, 늦어도 내년 12월까지는 완료될 예정이다.

행안부는 이 외에도 안전 안내에 대한 시민의 경각심은 높이고, 피로감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다.

올해 말까지 개정될 '재난문자방송 기준 및 운영 규정' 예규는 같은 내용의 중복 발송을 막는 것이 핵심이다. 행안부가 기상특보 등 일반 행동 요령을 전파하면, 지자체는 구체적인 내용을 담아 재난문자를 발송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또 재난정보 담당자가 이미 행안부가 발송한 내용과 비슷한 재난문자를 보내려고 한다면 '중복'을 알리는 '알림'을 띄우는 등 시스템도 개선한다. 이와 함께 재난문자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