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들은 계엄령 선포 관련 내용을 긴급재난 안전 문자로 받지 못했다. 사진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경찰 병력들이 일부 철수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시민들은 계엄령 선포 관련 내용을 긴급재난 안전 문자로 받지 못했다. 사진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문 앞에서 경찰 병력들이 일부 철수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령을 선포해 큰 혼란에 빠진 시민들이 계엄령 선포 관련 내용을 긴급재난 안전 문자로 받지 못했다. 시도 때도 없이 울렸던 긴급재난 안전문자가 정작 시급한 상황에선 무용지물이었다.

지난 3일 밤 10시23분쯤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열고 비상계엄령을 선포했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 이후 44년 만의 계엄령 선포였다. 이후 무장한 계엄군이 국회로 몰려오고 각 지자체의 시청과 도청이 잇따라 폐쇄되는 등 긴장 상황이 이어졌다.


시민들은 이 같은 상황을 뉴스를 통해 알았다. 행정안전부가 계엄령과 관련한 주무 부처로서 대응하느라 긴급재난 안전 문자로 알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재난 문자방송 기준 및 운영 규정에 따르면 행안부는 ▲기상특보 관련 자연 재난 상황정보 ▲대규모 사회재난 상황정보 ▲국가비상사태 관련 상황정보 ▲훈련을 포함한 민방공 경보 등의 상황에서 기간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에게 재난 문자방송의 송출을 요청한다.

이뿐만 아니라 행정안전부는 4일 오전 1시쯤 국회 본회의에서 비상계엄령 해제 결의안이 가결됐을 때도 재난 문자로 알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