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캐나다 부총리 겸 재무장관이 16일(현지시각) 전격 사임했다.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가 예고한 고율 관세 정책 등을 두고 쥐스탱 트뤼도 총리와 입장 차이를 보인 것이 결정적 배경이란 전언이다.
프리랜드 장관은 이날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트뤼도 총리에게 제출한 사직서를 공개했다. 그는 사직서에서 "지난 13일 트뤼도 총리가 내각 내 다른 직책으로 옮길 것을 제안했다"며 "고심 끝에 사임이 가장 정직하고 합리적인 결정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어 "장관직은 총리의 신뢰를 바탕으로 수행되지만 이번 결정은 내가 더 이상 그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졌다"고 덧붙였다.
프리랜드 장관은 캐나다 경제 위기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미국 차기 행정부는 25% 관세 부과를 포함한 공격적인 보호주의 정책을 예고했다"며 "캐나다 정부는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는 등 관세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정치적 수사(정치적 이익을 얻기 위해 내놓는 비실질적인 정책이나 언급)보다는 신중한 재정 관리와 국민에게 정확한 상황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아메리칸 퍼스트(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맞서 자국 내 투자와 일자리를 보호하고 캐나다 전역의 주지사들과 협력해 통합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임 후에도 자유당 소속 국회의원으로서 의정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며 "다음 총선에서 토론토 지역구에 출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임은 프리랜드 재무장관이 의회에서 연방정부 재정 상황에 대한 연례 보고서를 발표하기 직전에 이뤄졌다.
프리랜드 장관 사임으로 트뤼도 총리가 이끄는 자유당 정부는 큰 위기를 맞았다. 생활비 급등과 주택난 등으로 2015년 63%에 달했던 트뤼도 총리의 지지율은 현재 28%까지 급락했다.
BBC에 따르면 프리랜드 장관 사임 이후 자유당 소속 의원 5명이 트뤼도 총리에게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