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전남 우안국제공항에서 추락한 여객기는 B737-800으로 국내에만 100여대가 운행중인 보편적 기종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사고 발생 현장. /사진=뉴스1
29일 전남 우안국제공항에서 추락한 여객기는 B737-800으로 국내에만 100여대가 운행중인 보편적 기종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사고 발생 현장. /사진=뉴스1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 추락한 제주항공 사고 여객기는 B737-800으로 국내외 항공사에서 주로 쓰이는 기종으로 파악됐다. 기령은 15년이다.

29일 뉴스1에 따르면 이번 추락사고 여객기는 B737-800(HL8088)으로 2009년에 제작돼 2017년 제주항공에 등록됐다.


해당 여객기는 이날 오전 9시3분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181명이 탑승한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전 활주로를 이탈해 다수 사상자가 발생하는 추락 사고를 당했다.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은 여객기와 화물기를 합해 총 41대의 B737을 단일 기종으로 운용하고 있다. B737-800은 중단거리에서 주로 쓰이는 협동체(단일 통로)다. 국내에서만 101대가 운항 중일 정도로 보편적인 기종이다.

제주항공은 여객기 추락사고와 관련해 전 직원이 비상근무에 돌입했다. 이번 사고는 2005년 1월 설립된 제주항공의 첫 인명사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