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광산구 청사 전경.
광주시 광산구 청사 전경.

광주광역시 광산구가 새해 광주+광산형 통합돌봄의 의료돌봄 서비스를 대폭 강화한다.

광산구는 '빈틈없는 전 생애주기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망' 구축을 목표로 2026년 통합돌봄 전국 시행에 대비하고 민선 8기 공약인 '100세 시대 커뮤니티 헬스케어' 구현에 중점을 둔 통합돌봄 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구는 광주+ 7대 돌봄에 사회적처방 건강관리소, 휴블런스(병원동행), 마을밥카페 등 구 특화사업을 더해 시민의 자가 건강 관리 환경을 조성하고 의료적 치료와 일상생활 지원을 통합하는 의료돌봄 확장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각 동에 배치된 간호직 공무원에 '의료돌봄 매니저' 역할을 부여해 통합돌봄의 '방문의료' 서비스를 총괄하게 하고 보건소의 건강 관리·증진 사업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1차 의료기관과 협력해 '광산구 방문의료지원센터'를 지정·운영해 진료·검사, 처방·처치, 만성질환 관리, 건강교육 등 다양한 방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화사업으로 추진해 온 방문구강·방문간호 서비스는 광주 5개 자치구 공통 사업으로 확대 시행된다.


광산구는 서비스 강화를 위해 15개 기관·단체와 통합돌봄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기관은 △광주광역시 안심돌봄센터 △광주광산어등지역자활센터 △광주광산지역자활센터 △(사)한국노인장기요양기관협회 광주지부 △(사)광주재가장기요양기관연합회 △늘행복건강밥상사회적협동조합 △미리킴스 △항꾸네푸드 △태진식품 △광주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대화한의원 △정우상사 △송광종합사회복지관 △하남종합사회복지관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 등이다.

구는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1대1 가정방문 대면 점검을 신설·운영하고 제공기관에 대해 전문 상담(컨설팅)과 운영매뉴얼 개선 등 지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