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오성홍기와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를 합성한 시각물.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중국의 오성홍기와 중국의 AI 업체 딥시크를 합성한 시각물. ⓒ 로이터=뉴스1 ⓒ News1 박형기 기자

(서울=뉴스1) 임윤지 기자 =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 야권은 31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저비용 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 개발로 국내 AI 산업의 위기감이 고조되자 "정부의 안일함에 한숨이 나온다"고 비판했다.

이원혁 민주당 부대변인은 이날 오후 논평을 내고 "정부는 국제 AI 생태계에 뒤처지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부대변인은 "현 정부가 R&D 예산을 깎으며 우리나라의 미래 경쟁력을 초토화하고 있을 동안 세계는 미래를 향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었다"며 "지난해 설립된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윤 대통령의 측근 인사 의혹 외에는 아무런 소식이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 주요 기업들은 지금 개발과 연구에도 부족한 시간을 해외 투자자나 고객사에게 한국의 내란 상황을 해명하고 안심시키는 데 쏟고 있다"고 했다.

이어 "AI 사업에서 해외투자 유치와 국제적 협업은 필수"라며 "하지만 윤석열의 내란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대외신인도 추락은 이를 어렵게 하고 있다"고 했다.


이해민·강경숙·백선희 조국혁신당 의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딥시크발 AI생태계 충격파에 정부는 아무런 대책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정부에 △관련 분야 추가경정예산 편성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작동 △인력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