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이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내용이다. 국내외 제약·바이오산업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게 핵심이다.
최근 제약·바이오업계에서는 말 그대로 '시계 제로' 상황에 놓였다는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0일(현지시각)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 중심의 탈중국 정책은 중국이 장악한 원료의약품 분야에서 공급망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원/달러 환율 1400원을 웃도는 고환율 상황은 해외 임상 부담 증가로 이어진다.
한국바이오협회는 대한상공회의소의 '고환율 기조가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 조사에서 "국내 기업 대부분은 원료의약품 및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수입 의존도가 높다"며 "(고환율로) 해외 임상 비용 상승 등 R&D(연구·개발) 투자비용이 증가하고 있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바이오를 제2 반도체 산업으로 꼽고 집중 지원을 약속했으나 12·3 비상계엄 사태 등을 거치며 지원 속도가 느려졌다. 지난해 12월 출범 예정이었던 국가바이오위원회가 한 달가량 늦은 올 1월 닻을 올린 게 대표 사례다. 이마저도 윤석열 대통령이 아닌 최상목 권한대행이 위원장 자리를 잠시 맡게 되면서 아쉬움을 남겼다.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바이오 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대통령 직속 위원회다. 하지만 윤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며 정작 대통령은 위원회에 관여할 수 없게 됐다. 최 대행이 위원회 출범과 함께 "대한민국 바이오의 대전환 전략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했으나 현상 유지에 집중해야 하는 권한대행 체제 특성상 급진적인 지원은 쉽지 않을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불행 중 다행은 어찌 됐든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출범했다는 사실이다. 비상계엄 사태 초반이었던 지난해 말, 올해 초 위원회 출범 자체가 좌초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던 시기보다는 상황이 낫다.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범정부 차원에서 꾸준히 위원회에 힘을 실어줘야 국내 기업들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 출범 당시 정부는 ▲한국형 바이오클러스터 구축 ▲바이오 규제혁신 및 바이오 안보 강화 ▲데이터 기반 R&D 패러다임 전환 등의 목표를 내세웠다. 탄핵 정국이 지속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 차기 대선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지만 위원회는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빠르게 역량을 모아 목표 달성을 이뤄야 한다.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연기 같은 정책에 차질을 빚는 선례가 반복되질 않길 바라는 마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