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해상이 긴급출동 현황을 25일 발표했다. 사진은 현대해상 광화문 사옥./사진=현대해상
현대해상이 긴급출동 현황을 25일 발표했다. 사진은 현대해상 광화문 사옥./사진=현대해상

현대해상이 전기자동차 계절별 긴급출동 이용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름철 타이어 펑크로 인한 긴급출동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겨울철 전기차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긴급출동은 적었다.

25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는 자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하이카서비스(긴급출동서비스) 중에서 전기자동차의 계절별 긴급출동 이용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전기차의 계절별 긴급출동 이용특성을 분석하고 겨울철 전비 감소로 인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22년 3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총 2년간 현대해상 하이카서비스 이용 데이터를 활용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전기차의 여름철 긴급출동 서비스 1위 항목은 "타이어펑크"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는 고전압배터리의 무게로 인하여 동일 차종의 일반차량에 비해 중량이 250~ 500kg이상 차이가 나며 타이어 교체 주기가 짧은 편이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전기차 이용자는 여름철 타이어의 마모와 공기압 관리에 더욱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기차의 겨울철 긴급출동 서비스 항목별 순위를 살펴보면 긴급 견인이 29.6%로 1위, 타이어 펑크 수리가 2위(24.7%), 배터리 충전이 3위(24.1%)를 차지했다. 이 같은 특성은 전기차의 기계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전기차는 고전압배터리(구동용)와 12V배터리(시동용)로 구분되어 있고, 최근에 출시되는 차량의 경우 12V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부족하면, 고전압배터리를 이용해 자동으로 충전시켜 방전을 보호하는 기능이 내장된 경우가 많다. 때문에 전기차는 일반 차량에 비해 겨울철 시동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긴급출동 비율이 적은 것이다.


현대해상 관계자는 "전기차는 공차중량이 커 타이어 마모가 빠르므로 평소 관리에 더욱 신경 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