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강이 유지·보수 업체 관계자들이 승강기 오작동으로 인해 사고발생하자 1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승강이 유지·보수 업체 관계자들이 승강기 오작동으로 인해 사고발생하자 1심에서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무관함. /사진=이미지투데이

승강기 오작동으로 인해 입주민이 사망한 사건과 관련해 승강기 유지·보수 업체 관계자들이 1심에서 금고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다.

6일 뉴시스에 따르면 서울북부지법은 지난달 26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된 엘리베이터 유지·보수 업체 사장 60대 A씨와 30대 직원 B씨에게 금고 10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각각 선고했다.


A씨와 B씨는 지난해 2월 사고가 발생한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관리자다. 이들은 매월 안전 점검을 실시해야 할 의무를 소홀히 해 인명 피해를 유발한 혐의로 기소됐다.

사고 당시 도어 스위치 접지 전선이 훼손돼 있었다. 하지만 이를 방치해 엘리베이터 문이 열린 상태에서도 승강기가 작동됐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로 인해 입주민인 피해자 C씨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과정에서 문이 열린 상태로 승강기가 상승했고 결국 왼쪽 다리가 외벽과 틈 사이에 끼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 후 C씨는 즉시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치료 중 폐렴 등 합병증으로 같은 해 5월 사망했다.

재판부는 "피고인들은 사고를 미리 방지해야 할 업무상 주의 의무가 있었다. 엘리베이터 문이 열린 상태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승·하강할 우려가 상당함에도 이를 확인하거나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은 업무상 과실이 인정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피고인들이 사건 범행을 인정하면서 잘못을 반성하고 있는 점과 A씨가 유족에게 상당한 금원을 지급하고 합의에 이른 점 등을 고려해 참작했다"며 양형 이유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