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길용  광명시 사회복지국장이 2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촘촘한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4대 사업 추진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아영 기자
이길용 광명시 사회복지국장이 2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촘촘한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4대 사업 추진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김아영 기자

광명시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샅샅이 찾아 지원하기 위해 4대 안전망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광명시는 ▲빅데이터 활용 ▲등기우편서비스 ▲QR코드 복지상담 ▲인적안전망 등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안전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2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정책브리핑을 열고 위기 징후를 놓치지 않는 촘촘한 복지사각지대 발굴 4대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날 브리핑에서 이길용 사회복지국장은 시의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부터 인적 안전망까지 체계적인 위기가구 발굴시스템을 구축해 복지안전망을 더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단전, 단수, 휴·폐업, 실직 등 47종의 위기 징후를 나타내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고위험 취약 가구를 선별하고 신속하게 지원한다. 2개월 주기로 데이터를 수집 및 조사하며,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신속하게 대응한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지원 대상 가구로 선정되었으나 연락이 닿지 않거나 연락처가 없는 가구에는 복지 안내문을 등기우편으로 발송한다. 집배원이 복지 정보가 담긴 등기우편을 전달하며 생활 실태를 확인하고, 위기 징후를 파악하여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QR코드 복지 상담 시스템을 도입해 취약계층 방문이 잦은 약국, 병원, 편의점 등에 QR코드 복지 상담 홍보물을 게시하여 상담 접근성을 높였다. 상담 후 도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례관리사가 즉시 가정을 방문하여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지원한다.

굉명시가 지난해부터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큐알(QR)코드 복지상담 시스템.  /사진=김아영 기자
굉명시가 지난해부터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 큐알(QR)코드 복지상담 시스템. /사진=김아영 기자

복지 통장, 지역사회 보장 협의체 위원, 집배원, 요구르트 배달원, 도시가스 검침원 등 지역사회 다양한 일원을 명예 사회복지 공무원으로 위촉하여 위기가구 발굴 활동을 독려한다. 이들은 행정기관에서 미처 발굴하지 못한 위기가구를 발견하고 신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외에도 광명시는 위기가구 발굴 제보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하고, AI 기반 위기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확대하여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박승원 공명시장은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가 도움을 받을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촘촘한 발굴 체계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다"며 "모든 시민이 복지서비스에서 소외되지 않고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안전망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