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대미 투자 핵심 기지인 ‘조지아주 ’HMGMA‘가 준공 됐다. 사진은 정 회장이 준공식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던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대미 투자 핵심 기지인 ‘조지아주 ’HMGMA‘가 준공 됐다. 사진은 정 회장이 준공식에 참석해 환영사를 하던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미국 조지아주에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아메리카)를 완공하고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HMGMA는 정 회장이 이틀 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만나 발표한 210억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핵심 거점이다.


HMGMA 2019년 정 회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서 만난 것을 계기로 시작된 사업이다. 현대차그룹은 HMGMA 준공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에 선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27일(현지시각 26일) 현대차그룹은 조지아주 엘라벨에서 여의도 4배 크기인 HMGMA 준공식을 열고 미국을 넘어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전략에 착수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 회장,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 조현동 주미대사,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 송호성 기아 사장 등 주요 인사와 현지 임직원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대미 투자 핵심 기지로 운용될 ‘조지아주 ’HMGMA‘가 준공 됐다. 사진은 정 회장이 분공식 현장에서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를 배웅하던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대미 투자 핵심 기지로 운용될 ‘조지아주 ’HMGMA‘가 준공 됐다. 사진은 정 회장이 분공식 현장에서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를 배웅하던 모습. /사진=현대차그룹

HMGMA는 연간 30만대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춘 전동화 차량 전용 공장으로 지어졌다. 지난해 말 중형 전기 SUV 모델인 아이오닉5 생산을 시작했으며 올해 아이오닉9 양산도 준비 중이다. 내년부터는 기아와 제네시스로도 생산 차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전기차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차량도 혼류 생산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을 구축해 앞으로 다양한 친환경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HMGMA 준공으로 ▲앨라배마(현대차) ▲조지아(기아) 기존 공장과 함께 미국에서 연간 100만대 생산체제를 완성했다.

이 공장은 앞으로 20만대를 추가 증설해 최대 50만대까지 생산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생산규모는 120만대 이상으로 확대된다.

HMGMA 내부는 자동화·AI(인공지능) 기술이 집약된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Software Defined Factory)으로 설계됐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대미 투자 핵심 거점인 '조지아주 'HMGMA'가 준공 됐다. 사진은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에 지은 현대차그룹 HMGMA 전경. /사진=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대미 투자 핵심 거점인 '조지아주 'HMGMA'가 준공 됐다. 사진은 미국 조지아주 서배너에 지은 현대차그룹 HMGMA 전경. /사진=현대차그룹

고중량 도어 자동 탈부착, AI 기반 품질 검사, AMR((자율주행 물류로봇), 주차로봇 등 첨단 시스템이 적용돼 생산성과 품질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도 공정에 투입되고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도 제조 과정에 투입될 예정이다.

HMGMA는 인간 친화적인 친환경시설도 구축했다. 자연광이 그대로 유입되는 개방형 설계와 쾌적한 작업환경, 생태공원 조성 등 근로자 중심의 제조환경을 구현했다. 부지 면적은 1176만㎡로 여의도 4개를 붙여놓은 크기다.

현대차그룹은 HMGMA를 중심으로 현대모비스·현대글로비스·현대제철·현대트랜시스 등 그룹 주요 계열사와 배터리 합작사, 17개 국내 협력사가 참여하는 미래차 클러스터를 완성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준공을 계기로 북미에서의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국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 공급망 재편 움직임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