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이 국민연금 구조를 두고 다단계 금융 사기인 '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다고 비판했다.
지난 30일 이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2001년부터 연금을 수령하기 시작한 한 분이 2024년 1월 기준으로 약 23년 동안 수령한 연금 총액은 약 1억1800만원에 달한다"라고 적었다. 함께 첨부된 국민연금 고지서에 따르면 A씨는 99개월 동안 657만2700원을 납부하고 2001년 4월30일부터 약 23년 동안 1억1846만280원을 받았다.
이 의원은 "657만원을 불입하고 1억원 이상을 수령한 셈인데 이는 단순한 수익률을 넘어 물가상승률을 훨씬 상회하는 결과다. 참고로 이분이 연금을 납부하기 시작한 1993년의 소주 한 병 가격은 377원이었고 연금 수령을 시작한 2001년엔 700원, 현재는 약 1379원이다. 지하철 기본요금 역시 1993년 300원, 2001년 700원, 현재 1400원으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가는 대략 4배 올랐지만 연금 수령액은 납부액의 20배에 달한다. 이러한 국민연금 제도 설계는 과거에 출산율이 장기적으로 높게 유지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가정을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동시에 연금 제도에 소득재분배의 기능을 일부 포함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 소득재분배의 기능은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 사이에서만 적용돼야 공정하다. 기성세대의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 미래세대의 소득을 과도하게 끌어다 쓰는 구조는 정의롭지도 공정하지도 않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항아리형 인구 구조로 진입한다. 이 구조에서 아랫부분인 미래 세대는 윗부분인 기성세대의 연금 부담을 떠안기 어렵다. 그렇게 되면 항아리는 결국 깨진다. 이 의원은 "공적연금이 일정 수준의 소득재분배 기능을 갖는 것은 불가피하지만 지금처럼 저출산이 심각한 상황에서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세대에게까지 과도한 재정 부담을 전가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라며 "미래의 세금과 재정 부담을 떠넘겨 현재의 표를 얻는 복지 정책을 실행한다면 그것은 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이 게시한 사진은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 '국민연금 초고갈 짤'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글 작성자는 지인 어르신의 고지서를 직접 촬영한 사진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