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연금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민간 자문위원에 2030세대가 과반으로 구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한 여야 의원들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연금개혁에 청년세대 목소리를 포함하라는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국회 연금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민간 자문위원에 2030세대가 과반으로 구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한 여야 의원들이 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연금개혁에 청년세대 목소리를 포함하라는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국회 연금특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연금특위 민간 자문위원에는 2030세대가 과반으로 구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여당 연금특위 소속인 김미애·김재섭·박수민·우재준 의원은 31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래세대 부담 가중 등 세대 간 형평성 문제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재정안정화 조치 등 구조개혁을 통해 개혁을 완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당 의원들은 "현재 연금특위 구성은 미래세대의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되기 어려운 구조"라며 "국민의힘은 국민연금법 개정안에 반대표를 던진 3명의 30대 청년의원을 특위 위원으로 구성해 구조개혁을 위한 의지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21대 국회 연금특위를 예로 들면서 "당시 특위 위원 13인 중 80년대생은 국민의힘 배현진 의원(1983년생)이 유일했고 1기 민간자문위원 16명, 2기 민간자문위원 20명, 공론화위원 11명 그 어디에도 30대는커녕 80년대생 위원조차 전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 의원 중에는 구조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청년 의원들은 한 사람도 포함되지 않았다"며 "국회의장이 추천한 다른 야당 1인 또한 미래세대의 목소리를 대변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현재 22대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위원 13인 중 30대 의원은 국민의힘 김재섭(37)·우재준(36)·김용태(34), 더불어민주당 모경종(35)으로 4명에 불과하다. 30대 의원 4명을 제외한 연금특위 위원의 평균 나이는 54.8세로 청년세대의 입장이 배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연금특위는 다음달 2일 오후 2시 국회에서 첫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