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진행된다.
2일 뉴스1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오는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제77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을 개최한다고 전했다. 이번 추념식에는 4·3생존희생자와 유족 등 약 2만명이 참석한다.
지난 2014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4·3희생자 추념일은 행정안전부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주관으로 매년 4월3일에 개최된다. 올해 추념식의 주제는 '4·3의 숨결은 역사로, 평화의 물결은 세계로!'이며 4·3을 극복한 제주인의 정신을 강조하고 평화 정신을 세계로 확산해 유사한 비극을 겪은 세계인들에게 위로와 희망을 전할 예정이다.
추념식은 오는 3일 10시에 4·3희생자를 기리는 묵념을 시작으로 헌화·분향, 추념사, 평화의 시 낭송, 유족사연, 추모공연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묵념사이렌은 1분 동안 제주도 전역에 울려 추념식에 참석하지 못하더라도 영령에 대한 추념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번 추념식에서는 4·3문화해설사 홍춘호씨가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소개하는 제주 4·3의 역사와 제주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활동 등이 담긴 영상도 소개된다. 이어 김수열 시인이 평화를 기리는 시를 낭독한다.
유족 사연에는 김경현씨와 그의 딸 김해나양이 사연을 소개한다. 이날 소개될 사연은 제주4·3 당시 29세였던 아버지 故김희숙씨 유해 유전자 감식으로 당시 4세였던 아들 김광익씨, 손자 김경현씨 3대가 70여년만에 만난 이야기다. 마지막으로 가수 양희은과 벨라어린이합창단이 추모공연을 하며 추념식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제주 4·3희생자분들의 넋을 기리며 유족분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번 추념식을 통해 제주4·3희생자와 유족분들의 아픔을 보듬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